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2346 vote 0 2019.01.23 (02:24:31)

한글자막 지원 가능합니다. 설정 누르고 자막에서 한글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공부하지 말고 생각하라고 합니다. 뉴턴도 흑사병 때문에 학교가 문닫아서 기숙사에서 혼자서 생각하다가 만유인력의 법칙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아인슈타인도 교수직을 못 얻고 (한가한?)특허청에서 일하다보니 생각할 시간이 많았다네요. 영상에 나오는 제이콥이라는 친구도 자폐아라서 정상적인 학교에 갈 수 없어, 혼자서 생각할 시간이 많다보니 어린나이에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여간 핵심은 스스로 생각하라는 겁니다. 남의 걸 공부하지 말고요. 


마찬가지입니다. 구조론을 알려면, 구조론을 공부하면 안됩니다. 구조론을 스스로 만들어야 합니다. 예전에 구조론을 열심히 공부했더니 어느샌가 암기를 하고 있는 저를 발견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내린 결론은 돌아가더라도 스스로 구조론을 만들어야 한다는 거였습니다. 청중의 관점에서 구조론을 듣게 되면 죽을 때까지 화자의 관점을 이해할 수 없습니깐요. 까짓거 만들죠뭐.


곧 죽어도 구조론 창시자의 관점에서 구조론을 발견해야 합니다. 구조론 창시자는 i9프로세서를 가진게 아닙니다. 뇌 자체는 평범합니다. 일반인과 차이가 나봐야 얼마나 나겠어요. 아웃사이더가 천재가 되는 이유는 일반인과는 다른 사유를 하기 때문입니다. 무리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달라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겁니다. 무리에 섞여있으면 달라질 리가 없죠. 아웃사이더는 아웃사이더가 아닙니다. 언제라도 인싸가 되고 싶어하죠.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잖아요.


제가 뇌과학과 인공지능을 열심히 연구해본 결과, 인간은 기본적으로 추상화와 연역/귀납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게 안 되면 당신은 말도 못하고 눈으로 보지도 못합니다. 아무리 눈치가 없는 사람이라도 몇 번 들으면 사건에는 맥락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구조론이 대단한게 아닙니다. 구조론은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했을 뿐입니다. 애매한 걸 분명하게 밝혔다는 거죠. 


그러므로 당신도 만들어봐야 합니다. 각자의 일원론을 만들어봅시다. 만들어놓고 구조론과 비교해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구조론이 하늘의 별인채로는 구조론을 알 수 없습니다. 가슴에 품어야 내것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1.23 (04:41:17)

"창시자의 관점에서 구조론을 발견해야 합니다." - http://gujoron.com/xe/1056049
프로필 이미지 [레벨:9]cintamani

2019.01.23 (10:52:41)

오~~ 좋은 말씀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9.01.23 (15:51:49)

좋아요 백만개 누르고 싶네요.

개인적으로도 갈등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스트레스를 덜받고 재미를 느끼고 해결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잘 못느낍니다. 관계의 회복에 대해서만큼은 어느새 전문가가 되었습니다. 학부모간 갈등이 가장 치열한 학교폭력의 소용돌이에 있다보니 깨닫게 되었습니다. 결국엔 마음과 마음이 전해지면 해결될 수 있구나 하는 것을 요. 그런데 이것은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결해야지 그냥 일체 유심조, 연민, 심리적인 공감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신뢰를 쌓고 해결의지를 보여주고, 실제로 변화의 증거를 보여주면 당사자들도 마음이 움직이고 서로 통하기 마련이더라구요. 아이러니한 것은 이론으로 배우기보다 사람책으로 깨달은 게 컸고 책은 제가 정립한 것을 언어로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도였습니다. 아직 구조론의 말로 다 표현은 못하지만, 구조론적 사고를 갖고 구조론에 비추어 저의 방향과 단계적인 프로세스를 진행하면 그다지 어려울 것이 없었습니다. 구조론을 품은 구조동인들이 세상을 바꿀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알타(ㅡ)

2019.01.24 (15:08:33)

일체 유심조 ㅋㅋ.. 아직도 이거 가지고 헤메는 사람 있나?? ㅎ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1.23 (17:40:51)

공감이 갑니다.
저도 어릴 적부터 귀가 나빠서 혼자서 공부하다시피 했어요. 상상력을 키우면서.
그래서 구조론도 쉽게 친숙해지는듯~
[레벨:11]큰바위

2019.01.23 (20:26:41)

원래 인간은 창의하게 되어있습니다. 그것을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제어하는 거죠. 

지금 막장드라마로 방영되는 SKY캐슬인가 뭔가 하는 게 그런 좋은 예, 아니 아주 나쁜 예입니다. 


멀쩡한 아이들을 대학가는 기계로 만들려고 통제하고, 그걸 못이겨 자살하고 죽이고 뭐 그런 게 교육계에서 작동한다는 거 자체가 웃기고 슬픈 일이지요. 


하루라도 제대로 아무 것도 안하고, 생각하고 창의하는 데 시간을 보내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귀한 깨달음의 글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알타(ㅡ)

2019.01.24 (15:19:53)

공부에 범위를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책을 읽고, 쓰고, 암기하는 것 그것이 전부인가?

실전에서 부딪히는 것도, 생각하는 것도 공부다. 

그런데 말이죠. 보통 사람들은 책만 읽거나, 실전에서 돈만 벌거나 극단적으로 살아 갑니다. 

양극화의 비극은 경제에 한정된 것만은 아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912 따돌림 당하던 애가 따돌림을 면한 증거는? 이상우 2019-10-14 1522
4911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10-10 1371
4910 타다의 무리수 1 챠우 2019-10-08 2087
4909 사모펀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수원나그네 2019-10-07 1800
4908 구조론 방송국 재생 횟수 통계(최근 7일) image 5 오리 2019-10-06 1682
4907 반포대로의 한쪽 끝은 예술의 전당이고 다른쪽은 반포대교입니다. 챠우 2019-10-04 1886
4906 요즘 교사 이야기 4 이상우 2019-10-03 1826
4905 개천절 구조론 모임(6시로 앞 당깁니다) image 오리 2019-10-03 1405
4904 이춘재의 고딩시절 의혹 한 가지 3 락에이지 2019-10-03 3457
4903 더하기에 숨겨진 빼기 1 첫눈 2019-10-02 1478
4902 [공모] 영상제작 및 책자제작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image 수원나그네 2019-10-02 1540
4901 걸스데이 유라 그림실력 2 말시인 2019-10-02 1947
4900 서초동 집회 참여합니다. 15 나나난나 2019-09-28 2379
4899 동렬님 질문 드립니다 1 우리보리깜디쪽 2019-09-26 1839
489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26 1396
4897 '사학비리' 봐준 검찰부터 개혁을 image 수원나그네 2019-09-24 1514
4896 ΛCDM 모형 르네 2019-09-23 1653
4895 가을에 동해안 걷기를~ 수원나그네 2019-09-22 1353
4894 평균의 종말 4 스마일 2019-09-20 1798
4893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19 1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