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3일 "지난해 12대 주요 경제지표가 박근혜 정부 때보다 개선됐고 1인당 국민소득은 3만1496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인구 5000만명 이상 규모를 가진 국가 중에서 미국·독일·일본 등에 이어 세계 7번째로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국가의 반열에 올랐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경제가 전례없이 위기라는 보도가 연일 계속되는 가운데 이같은 정보는 우리를 곤혹스럽게 한다. 경제 위기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당당히 세계 열강의 반열에 진입하고 있다. 물론 선진국이 되는 것이 반드시 다 좋은 것은 아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우리는 힘차게 달리던 젊은 시기를 지나 서서히 소멸하는 단계로 접어든 것일 수도 있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보여주는 그런 열기로 가득 찬 시대는 아득한 기억으로만 남았다. 젊은이들은 좋은 직장, 결혼, 육아, 집 장만과 같이 기성 세대들이 큰 의미를 부여하는 삶의 목표를 자신의 인생 밖으로 하나 둘 밀어내고 있다. 이들은 결핍이 없고, 그래서 애써 달성해야 하는 목표도 없어진 것이다. 


스티브 잡스의 스탠포드대 연설 중 '항상 갈망하고 우직하게 나가라(stay hungry, stay foolish)'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숫타니파타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경구를 연상시키는 말이다. '헝그리정신'이라는 말에도 잡스나 숫타니파타의 진실 한 조각이 담겼다. 다시 말해 결핍이 없으면 동력도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외로워야 하고 배 곯아야 하는가. 그러나 어쩌랴 우리는 억지로 배곯을 수도 없으며, 조금만 고개를 돌려보면 인터넷 동호회에 게임, 사회관계망서비스 등 사회적 관계도 풍성하게 펼쳐져 있다. 어느새 외로울 수도 배곯을 일도 없어진 나라가 되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이 아이를 낳으려고 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달려갈 생각도 옅어졌다.


우리가 세계사에 유래 없을 정도의 성취를 이루는 동안 기성세대와 이 사회의 새로운 동력이 될 젊은 세대의 경험이 극명하게 단절됐다. 외롭고 배곯아봐야 한다는 말은 자칫 젊은 세대에게는 고루한 잔소리로만 들릴 뿐이다. 그럼에도 젊은 세대에게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상대적 박탈감은 커졌고, 사회적 지위가 모호해져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진지하게 삶과 성공에 대해 질문해야 한다. 경쟁을 통해서만 달성되는 성취는 식상하고, 행복과 같이 개인주의적 만족으로도 에너지는 발전되지 않는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움직이고, 움직여야 존재로서 가치를 가진다. 우리가 주워 섬기는 행복이나 경쟁적 성취는 '움직이는 존재'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지 못하다. 화가는 쉼없이 그릴 때 완전하고 달리기 선수는 트랙을 질주할 때 완전하다. 그림을 팔고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것은 잘 움직여온 전체 과정의 한 단면일 뿐이다. 


완전함으로부터 존엄과 성공과 행복이 달려 나온다. 우리가 바른 방향을 잡고 그 방향으로 꾸준히 움직여갈 때 어떤 특정한 사회적 지점과 만나게 되고 그 위치에너지로부터 우리 삶이 온전해진다. 아웃사이더나 인사이더 어느 한쪽의 포지션에 머물지 않아야 한다. 더 정확히는 아웃사이더의 위치에서 인사이더(사회 주류)를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바로 그 방향에서 우리 삶을 온전하게 하는 위치에너지가 나온다.


멈추는 순간 삶은 빛을 잃는다. 다시 스티브 잡스의 'stay hungry, stay foolish'를 곱씹어보면 'hungry'는 굶주림과 결핍, 즉 변방이나 아웃사이더의 시각을 견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지 아웃사이더로 머물러서는 곤란하고 사회와 역사의 중심을 노려봐야 갈망이 생기고 그 갈망이 인간을 움직이게 한다. 


당장이라도 중심으로 치고 들어갈 것 같은 갈망이 서린 눈빛을 가져야 한다. 행복과 성취는 그 에너지 낙차의 흐름에 달려나오는 열매일 뿐이다. 행복과 성취를 추구할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서있는 지점을 인식하고 자신이 바라보는 방향을 이해해야 한다. 중심을 노려보는 아웃사이더의 눈빛을 잃지 말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1.16 (18:53:59)

명문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수피아

2019.01.16 (22:42:17)

"멈추는 순간 삶은 빛을 잃는다" -아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1.17 (03:41:18)

구조론의 정수를 보통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글로 제대로 풀어주시는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69
1815 존엄과 욕망 사이 4 양을 쫓는 모험 2011-03-09 4195
1814 근원의 표정 image 8 ahmoo 2011-03-09 4976
1813 경쟁에 반대한다 Intro: 나는 가수다? image 14 오세 2011-03-14 6755
1812 겨루기, 싸우기. 살림, 죽음. ░담 2011-03-20 4214
1811 나는 가수다, 당신이 분노해야 할 이유 image 2 조영민 2011-03-21 4568
1810 미학(美學)은 기(起) 입니까? 1 함성한 2011-03-23 3866
1809 부바키키 언어 계통수 발견하기. ░담 2011-03-23 5377
1808 경제와 주가의 구조론적예측툴에 관해서 질문 2 갈구자 2011-03-23 4093
1807 경쟁에 반대한다 1편: 경쟁은 무의식이다 image 6 오세 2011-03-23 10312
1806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144
1805 경쟁에 반대한다 3편: 죽음의 사다리를 걷어치워라! image 5 오세 2011-04-06 4635
1804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084
1803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25
1802 현대물리학의 개념들에서 질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11 wson 2011-05-04 4252
1801 대진화, 포화진화, 환경 변화 3 wson 2011-05-08 4554
1800 연꽃의 역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1-05-10 4294
1799 과학의 정체(?) 35 wson 2011-05-25 4602
1798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442
1797 삶과 죽음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1-05-28 3699
1796 구조를 알아야 관계는 도약된다. 5 조율 2011-05-29 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