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민규
read 1255 vote 0 2020.06.27 (14:48:00)

다른 학문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블랙홀 학문이 있다. 철학이 예전에는 학문 그 자체를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인문학의 귀퉁이로 축소되었듯이 말이다. 철학의 세부 분야였던 학문들이 철학을 잡아먹은 것이다. 그것이 학문의 발전 과정이다. 학문이 처음 만들어지고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학문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다. 정확히는 '철학'을 침범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마르크스주의는 기존 경제학의 '자본의 영속성' 철학과 전혀 다른 것이다. 그것은 학자 개인의 삶의 철학과도 맞닿아있다. 그들은 삶의 방향 자체가 달라서 같은 학문에서 서로 절대 공존할 수 없는 존재다. 이런 상황에서 학문적 무리수가 난무하는 전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 학문의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르다. 전쟁이 끝난 후 학문의 학파들은 서로 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흐물흐물해진다. 상대주의로 가는 것이다. 상대주의로 가면 언어를 합의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대의 것을 수정할 수 없게 된다. 후대의 성과는 전대의 것과 호환되지 않으니 언어가 지리멸렬해진다. 학문의 유입이 끊기고 발전은 지체된다. 학문의 엔진이 꺼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만의 리그가 된다.


그러므로 학문은 싱싱할 때 취해야 한다. 철학이 뒤섞여 있지 않고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성향이 균일해야 한다. 그것은 학문의 어떤 세부분야이고 뜨는 분야다. 뒤섞이기 직전에 있는 분야다. 그곳의 언어를 가져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20.06.27 (16:04:31)

글쓰기는 그 얘기를 읽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 전파하는 흐름이 이루어지는 것까지는 가야 하오.

그게 어려우면 이 사람이 무슨 생각으로 이런 얘기를 썼는가에 대한 개념까지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하지요..

그렇지 않으면 눈만 어지럽힐뿐..

[레벨:15]오민규

2020.06.28 (08:26:18)

제가 설명이 부족했네요. 언어의 통합에 대해서 생각하다가 쓴 글입니다. 어떤 학문의 언어가 신뢰할 수 있는지 알아내야 했죠. 그런 관점에서 쓴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65
1710 IT혁명의 미래 2 르페 2009-03-18 5127
1709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124
1708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방법 3 기준님하 2009-07-24 5124
1707 인간 언어의 원리 1 김동렬 2013-09-26 5119
1706 누드시대의 석가 image 4 김동렬 2014-05-20 5114
1705 질문 - 빵이 하나 있다면? 19 김동렬 2013-06-26 5112
1704 구조의 피라미드. 2 아제 2010-02-10 5100
1703 구조론과 반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03-30 5098
1702 구조론, 내시균형과 컴퓨터게임 SimplyRed 2023-04-11 5095
1701 민족은 환상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7-30 5093
1700 초끈이론의 의미 1 이금재. 2021-06-05 5092
1699 쉬운 구조론 문제 30 김동렬 2013-09-02 5092
1698 불교를 구조론으로 풀어내는 것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아란도 2009-03-17 5091
1697 법륜의 헛소리 김동렬 2017-03-29 5077
1696 창의성의 진화 image 7 김동렬 2015-01-05 5076
1695 지금 딴나라당이 잘못하고있는건가요?? image 1 가혹한너 2009-02-28 5070
1694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069
1693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068
1692 선이 굵어야 아름답다. image 3 굿길 2009-02-13 5067
1691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 1 김동렬 2013-10-21 5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