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read 4507 vote 0 2009.01.14 (13:13:14)

느낌과 환경, 그리고 만나기

 


모든 일은 느끼는 것에서 시작한다. 모든 위대한 결정들도 느낌에서 태어난다. 모든 복잡한 이론도 단순한 느낌에서 비롯된다. 한 사람의 마음에서 미세한 형태로 존재하는 그 느낌에서 역사의 거대한 행보가 시작되고, 지금도 우주적 순환을 멈추지 않게 하는 힘의 근원이 되고 있다.

 

느낌은 무척 단순한 형태로 주어진다. 그것은 부정, 혹은 긍정 둘 중 하나로 나타난다. 부정적 느낌은 찝찝하고 개운하지 않고 답답하며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긍정적 느낌은 통쾌하고 시원하고 명쾌하고 확 뚫리는 느낌으로 나타난다. 모든 창조적인 성취는 부정적 느낌을 뚫고 긍정적 느낌을 향해 멈추지 않고 움직여가는 길의 끝에서 얻게 된다.

 

모든 사람들은 이미 역사와 문명, 그리고 신과 소통할 수 있는 이 근원적이며 단순한 척도를 하나씩 가지고 태어난다. 자신에게 내재된 이 척도를 잘 따르기만 한다면 사람은 흘러넘치는 우주적 창조성의 세례를 무수히 받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사람은 사회, 혹은 군중 속에서 자신을 잃는 일이 흔하다. 다른 사람의 개입으로 자신의 느낌이 보내는 신호를 점차 놓치기 때문이다. 자신의 느낌을 존중하는 법을 모르면 그 어떤 지식과 기술과 방법론을 터득한다고 해도 진정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육이 시작되는 이 처음 지점에 다시 한번 주목해야 한다. 이 지점은 쉽게 묻히고 만다.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교육이 이 영토를 인식하고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모래 위에 건축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교육은 개입을 다룬다. 언제 어떻게 얼만큼 개입할 것인가가 교육의 근본 문제이다. 이것은 세련된 개입, 균형 잡힌 개입이며, 다른 말로 하면 습관적인 개입을 멈추는 문제이기도 하다. 교육적 균형을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개입이 불가한 영역을 교사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느낌의 영역이다. 그곳은 개인이 일대일로 외부와, 혹은 신과 대면하는 영역이다. 그러므로 아이가 자신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느낌을 더 분명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자신과 대면할 수 있는 여백의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이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 작업이다.


체험이 창의성의 굳건한 토대가 된다. 체험이란 생성되는 자신의 느낌과 끊임없이 대면하는 일이다. 단지 이런저런 일에 발을 담그어보는 것을 말하지는 않는다. 폭넓은 체험을 통해 사람은 세계가 보내오는 신호에 따라 일어나는 자신의 느낌과 대면한다.

 

교육은 체험과 느낌의 문제를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곧 환경의 문제이다. 교육기법이나 방법론보다 어떤 환경을 만들 것인가가 포괄적으로 교육의 가능성을 규정할 것이다. 아무리 좋은 그림이라도 억지로 보여주는 교육보다, 좋은 그림들을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안목 있는 교사가 있고, 그런 좋은 것들이 손을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곳에 있는 공간을 창조하는 일이 더욱 교육적 가능성을 넓힌다.

 

느낌, 감수성, 체험, 환경은 같은 차원의 개념들이며 교육의 1차적 요건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는 철학, 이념, 교사, 공간 등이 있다. 환경은 교육이 외부, 혹은 역사와 어떻게 대면할 것인가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환경을 창조하는 것은 단지 공간을 만드는 문제가 아니라 교육적 시도가 역사와 어떤 지점에서 맞물릴 것인가, 어떤 포지션을 차지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아이들과 어떻게 만날 것인가에서 역사와 어떻게 만날 것인가? 이렇게 만남, 출발점, 혹은 대전제를 놓치고 출발하지 않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01.14 (13:16:55)

아주 좋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91
95 세잔의 사과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5-08 21119
94 노무현은 아직도 할 일이 많다. 4 양을 쫓는 모험 2009-04-30 6260
93 성장통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4-28 5535
92 돈있는 수구꼴통들은 죄가 없습니다 물론, image 가혹한너 2009-04-17 8212
91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912
90 자기존중감과 선을 넘기 3 ahmoo 2009-04-15 5887
89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97
88 용력을 과시하는 시골 용사가... 2 읍내리 2009-04-10 5588
87 덧붙이는 이야기 image 김동렬 2009-04-10 6765
86 김동렬님께 1 읍내리 2009-04-10 4685
85 읍내리님께 image 1 김동렬 2009-04-09 7106
84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45
83 한국사회 구조조정 1 눈내리는 마을 2009-03-24 5521
82 IT혁명의 미래 2 르페 2009-03-18 5153
81 류현진과 정현욱의 차이 3 눈내리는 마을 2009-03-18 6379
80 아란도님의 질문에 대하여 5 김동렬 2009-03-17 4758
79 불교를 구조론으로 풀어내는 것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아란도 2009-03-17 5111
78 관계는 생명입니다. 3 ahmoo 2009-03-16 4869
77 섬으로의 고립을 드러내라 눈내리는 마을 2009-03-12 5158
76 파시즘의 도래 가능성 1 선풍기 2009-03-01 5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