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read 2138 vote 0 2019.01.04 (01:26:46)

저는 전공특성상 고위관료들과 많이 부대낀 편입니다.
국토부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의 국장급 이상들과 상대를 많이 해봤지요.
그동안 그 많은 관료 가운데 일 잘하는 이는 두 사람 정도만 기억나는군요.
그 두 사람 모두 국장급 때 알게 되어 친해 졌는데 한사람은 서울부시장 또 한사람은 경기부지사까지 승진했지요.

둘은 한사람은 장군형이고 또 한사람은 샌님형인데 공통점이 있습니다.
1. 공공적 가치에 대한 신념이 강하다는 것. 직장인으로서의 관료생활을 하는 사람이 대부분인 분위기에서 홀로 그런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그런 가치관을 내재하고 있지요.
2. 비전을 이야기 하는 걸 좋아 합니다. '그게 지금은 이래서 안되고 저래서 안되는데, 다만 그 조건만 해결되면 여차여차 해서 해결될 거요. 그 시점이 언제인데 지금 물밑작업을 해두고 있지요.' 이런 말을 만날 때마다 듣게 됩니다. 내부에 에너지가 가득한 사람이지요. 이 사람 얼굴만 떠올려도 아 그 양반 추진하고 기다리던 것 어떻게 되었나 궁금해질 정도로 소신이 바로 손에 잡히지요. 
3. 결정할 때까지 고민하지만 방향 정해지면 좌고우면 하지 않습니다. 확고하게 밀어 부치지요. 선출직 상관을 어떻게 해서든 설득시킵니다. 십년 잡고 추진하다가 중간에 상관 잘못 만나면 좌천도 당하지요. 그러다가 다시 복귀해서 승승장구.

물론 둘다 관료 특유의 이너써클의 멤버를 밀어주고 당겨주기 하는 요소는 있고 팔방미인격으로 둘러대는 재주도 갖추고 있지요. 하지만 이 세 가지가 일반관료들과는 확실히 차이가 있어요.
정치인으로는 이재명이 이에 가까운 편입니다.

김동연에 대해 기대를 하는 시각들이 있으신데,
제 기준으로는 아직 판단유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1.04 (09:14:37)

또 한가지 돈을 잘 쓸 줄 알고
그 돈을 잘 확보할 줄 안다는 겁니다.
아무리 큰 예산도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의원을 설득해서 세우고 그걸 집행해내는 것이죠.
관료의 유능함을 재는 계량적 척도로는 돈을 쓰는 종류와 규모를 보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291
1575 한국시리즈 무료 직관 번개 image 2 ahmoo 2023-11-11 2460
1574 전체와 부분. 1 systema 2017-08-04 2468
157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30 2475
1572 사람들이 잘 모르는 확률의 의미 chow 2022-07-08 2490
157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1-03 2492
1570 수준이하인 과학자들 3 김동렬 2017-11-30 2500
1569 미적분과 통계 그리고 에너지 이금재. 2021-12-14 2501
1568 구조론 단상. systema 2017-06-23 2503
1567 행정구역개편 1 - 유역을 기초로 한 행정구역의 필요성 image 수원나그네 2018-04-03 2513
1566 베이즈 추론과 쌍자의 이해 image 2 이금재. 2020-05-09 2514
1565 질문이 틀렸어 - 광속 4 이금재. 2021-09-22 2517
1564 인도에서 한국,일본기업을 대상으로 비지니스호텔을 함께 운영할 분 써니와조나단 2022-07-11 2520
1563 무량판 구조에서 펀칭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chow 2023-07-30 2537
1562 환원주의 대 창발주의 image 1 다음 2020-08-17 2539
1561 도박사의 오류의 오류 김동렬 2017-12-09 2553
1560 [전달] 양승태 전 대법관 재판거래 파문 관련 문건 전체 공개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8-06-17 2554
155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9-22 2554
1558 오징어게임과 주식시장 - 고수가 이긴다 2 레인3 2021-10-04 2559
1557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67
1556 정의의 낙차 개념 2 다음 2021-10-14 2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