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워낙 내가 예전부터 비판적인 성향이 강한데 지금은 많이 줄어든게 이 정도다. 그런데 비판적인 사고가 강한 내게도 전환점이 있었으니 김동렬의 구조론과의 만남, 교육철학 이학주 교수님과의 만남, 도덕교육 김항인 교수님의 수업과 비폭력대화에서 였다.

우선은 "00은 무엇인가?"를 제대로 알고 있는지 개념부터 잡아야 한다. 개념이 안잡히면 그 다음부터는 뭐든지 부실해진다.

다음으로 고정된 사물에 매달리지 말고 사건의 관점, 사건의 관점에서 일의 흐름을 파악해야 뭔가 대응할 수 있다. 일의 흐름도 모르고 고정된 어느 사물이나 형태에 매달리고, 특정인의 입장에 서게 되면 편견에 사로잡히고 전모를 파악하지 못해 망한다.

분석보다 종합이 앞선다. 분석은 과거의 것이고, 부분적인 것에 그친다. 분석은 종합을 위해서 필요하다. 종합보다 분석이 앞서면 진도를 못나간다. 전체 구도하에서 제대로 분석이 되어야 뭔가가 나와준다. 방향이 나온다.

비판보다 창의와 생산이 앞길이다. 비판은 생산과 창의를 위한 것이다. 비판은 창의와 생산이 있을 때만 가치가 있다. 생산과 창의를 못하는자는 비판하지 말라는 소리가 아니라, 비판을 할 때 그것이 창의와 생산에 도움이 되는지 안되는지 따져보라는 것이다. 보통 보수는 비판을 무시하고 생산에만 매달리고, 진보는 비판하다가 생산이 비루해진다.

창의와 혁신은 외부 에너지에서 나온다. 외부 에너지 투입없는 창의와 혁신은 불가능하다. 전교조가 지금 갈 길을 잃은 것도 외부 에너지가 부족해서 그렇다. 우선은 전교조 안에 참신한 인재들이 중앙과 지부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의사결정과정에 일정 부분 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육의 성공도 만남에서 나온다. 만남 자체가 에너지고, 만남의 질에서 그 사람의 수준이 결정된다. 만남에서 에너지가 투입되고 상호작용이 이뤄지고 일이 계획되고 뭔가 생산할 수 있다. 혁신학교 모델처럼 한 번 만들어진 모델은 최소한 몇 년을 간다. 이제 다시 새로운교육모델이 나올 때다. 물론 모델이 나오려면 의미있는 만남속에서 수많은 시행착오와 오류수정이 뒤따라야 한다. 과연 지금 그런 모델 만들기가 이뤄지고 있는가? 모델이 만들어지면 복제는 훨씬 쉽다. 일본 초밥 장인되는 과정처럼 설거지 몇 년, 고기뜨기 몇년, 밥짓기 몇년으로 시간끌면 곤란하다. 팀플레이가 아니면 안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8.12.26 (13:45:13)

외부 에너지 중에 가장 직접적인 요소 중에 하나는 외부 인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공무원 조직이던 노조 조직이던 순혈주의에 근거한 내부 인력만 고집하지 말고 필요한 만큼의 문호를 개방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8.12.27 (10:06:40)

일정 부분 필요합니다. 초등교육의 경우도 지역의 단일교대 출신 그 지역 교육을 책임지기 때문에 갈라파고스 현상이 일어납니다. 다양한 교대 출신이 섞여 있는 경기도와 서울은 좀 다르지만요. 그리고 교대 외 출신들의 진출도 필요합니다. 너무 교대스러운 것이 문제되기도 합니다. 저도 일반대를 졸업하고 교대에 들어갔기 때문에 시야가 넓어진 부분도 있지요. 교대생들은 경험의 폭이 참 적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60
217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6-06 69
2169 세계일주 시작 되었개 강원닮아 2024-06-06 104
2168 가장 뛰어난 사람을 보고 그 나라를 판단해야 한다는데 15 서단아 2024-06-04 516
2167 세계일주를 앞두고.. 지난 8년의 결과물을 공유합니다. 1 강원닮아 2024-06-02 370
2166 상호작용을 늘리는 교사가 되자 이상우 2024-05-24 214
2165 방향전환과 초끈이론 1 서단아 2024-05-23 343
2164 좋은 일과 나쁜 일 이상우 2024-05-23 200
216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23 100
2162 성품교육의 허상, 그냥 부모 니 인생이나 잘 살아라. 이상우 2024-05-17 470
2161 chatGPT 옆그레이드 chow 2024-05-15 492
2160 최병인 선생님 전시회 밀 image 5 김동렬 2024-05-13 569
2159 이제는 학교도 망하고 아이들도 망가진다. 이상우 2024-05-10 598
215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08 199
2157 시민의회 소식 수원나그네 2024-05-03 308
2156 나치 시절 나치에 반대하는 소수 독일인이 있었다면 무슨 정신으로 살아가야합니까 2 서단아 2024-04-30 672
215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4-25 257
2154 문제행동이 심한 학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을까? 2 이상우 2024-04-24 517
2153 두 가지 곱셈, 기수와 횟수 그리고 서수 chow 2024-04-14 483
2152 나눗셈과 미분의 차이 chow 2024-04-14 523
2151 미분의 비밀 image chow 2024-04-12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