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511 vote 0 2010.07.15 (23:08:04)

 

  자연에서 차원은 다섯이 있다. 0, 1, 2, 3, 4차원에 대응하여 점, 선, 각, 입체, 밀도가 존재한다. 우리가 기하에서 배우는 점, 선, 면, 입체는 상대적인 크기의 비례값이 주어진 것으로 자연의 실재를 왜곡한다는 점에서 허상이라 하겠다.

  구조론에서는 면을 배척하고 각으로 대체하며 밀도를 추가한다. 밀도는 보이지 않지만 비중으로 존재한다. 점의 개수, 선의 길이, 각의 너비, 입체의 부피, 밀도의 비중으로 다섯가지 도량형과 짝지어져 완전해졌다.  

  
  중요한건 밀도다. 작용반작용의 접촉점에서 둘이 하나를 공유하여 축과 대칭을 성립시킨 밸런스 상태이다. 밀도는 수압, 기압, 전압, 중력, 가속도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문제는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공간의 모든 크기는 밀도가 해체되면서 성립한다. 인간이 활동하는 3차원 공간은 4차원 밀도가 해체되면서 상대적인 비례값이 부여된 것이다. 특히 밀도는 시간성이 반영된다는 점이 각별하다. 점, 선, 각, 부피는 공간의 사정이다.

  점은 개수를 세면 되고, 선은 길이를 재면 되고, 각이나 입체도 마찬가지이나 밀도는 반드시 시간이 반영되어야 한다. 시간이 정지해 있다면 밀도를 파악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밀도는 작용에 대한 반작용의 크기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작용을 가했을 때 반작용하는데 일정한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차원개념의 본질은 작용반작용이며 어떤 대상에 물리적으로 작용하여 반작용의 크기를 재면 밀도다. 밀도를 해체하면 입체가 되고, 입체를 해체하면 각, 각을 해체하여 선, 선을 해체하면 점을 구할 수 있으며 그 역의 경우는 인간의 상상일 뿐 자연의 실재가 아니다. 자연은 항상 해체할 뿐 집적하지 못한다.

  인간은 점을 모아서 선을 만들고 선을 모아서 각을 만들 수 있지만 자연은 그럴 수 없다. 차원 개념은 자원의 해체원리를 따라야 한다. 작용반작용에 의한 축과 대칭의 밸런스 원리를 따라 밀도≫입체≫각≫선≫점으로 해체되면서 심 1이 대칭 2로 분할된다. 밀도 1은 해체되어 입체 2를 낳으며, 입체 1은 해체되어 각 2를 낳고, 각 1은 선 2를, 선 1은 점 2를 낳아서 우주를 건축한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공간이란 작용에 대한 반작용의 전개다. 점은 작용반작용의 마주치는 접점, 선은 운동할 때 선형의 반작용, 각은 짝지을 때 각형의 반작용, 입체는 주도할 때 입체형의 반작용, 밀도는 시간상에서 사건 형태로 작용할 때 밀도형의 반작용이다. 시간이란 그 작용반작용의 현재진행이다. 시간과 공간은 모두 작용반작용의 밸런스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기존의 수학에서 쓰는 점, 선, 면, 입체 개념은 작용반작용의 본질에서 벗어난 것으로 옳게 정의되지 않은 잘못된 개념이다. 실제로 수학에서 점, 선, 면, 입체를 분명하게 정의하지 않고 대개 경험을 끌어다 쓰는 편이다.

  시공간의 차원은 작용반작용의 밸런스에서 출발하여 입체, 각, 선, 점으로 진행하며 레이어를 하나씩 소거하여 마침내 반작용할 수 없는 제로상태가 되므로 4, 3, 2, 1, 0차원 외에 다른 차원은 없다. 차원은 작용반작용의 대칭성에 의해 탄생하며 0차원에 이르러 대칭성이 소멸하므로 다른 차원은 없다.

 

http://gujoron.com



 

 


[레벨:15]오세

2010.07.16 (00:29:51)

구조론을 배우면 4차원 여행도 가능하구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0.07.18 (23:49:00)

간단하오.
하나의 포지션을 둘이 동시에 점유할 수 있으면 그게 4차원이오.
시간에서는 늘 있는 일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81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7299
6823 노무현이 광주노씨라서 전라도 사람이면 전주이씨 이회창은? SkyNomad 2002-12-13 21766
6822 용해 주물 압연 압천 압인 image 김동렬 2011-06-12 21738
6821 추미혜와 박근혜 누가 더 예쁜가 내기해 보자 황인채 2002-12-19 21578
6820 구조론 문제 - 이 그림이 비싼 이유는? image 80 김동렬 2012-12-31 21572
6819 구조적 사고란 어떤 것인가? image 13 김동렬 2012-01-02 21414
6818 발달린 뱀 image 1 김동렬 2009-09-16 21387
6817 결혼한 뒤 바람 피우는 진짜 이유는 image 47 김동렬 2012-04-12 21240
6816 안희정은 무슨 배짱으로 .. 미친 넘 image 김동렬 2003-03-26 21086
6815 선문답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12-11-01 21045
6814 Re.. 깨춤 - 우리말 대사전 김동렬 2002-12-12 21040
6813 김원길의 적절한 선택 image 김동렬 2002-11-26 20909
6812 40代 엽기 마누라의 '남편 죽이기' 김동렬 2003-07-23 20812
6811 허재와 이명훈의 만남 image 김동렬 2002-10-04 20773
6810 정몽헌 자살이 DJ의 노벨상 때문? 스피릿 2003-08-06 20702
6809 마음의 지도 image 김동렬 2010-11-15 20667
6808 사랑하기 때문에 헤어진다는 말은..길은정이 편승엽에게 김동렬 2002-09-08 20576
6807 재벌의 마이너스법 image 김동렬 2011-11-14 20559
6806 혈액형에 대한 최근 연구자료(아래는 구버전) 혈액형 박사 2003-05-10 20554
6805 노무현의 옛날 사진(중앙일보) image 김동렬 2003-06-09 20547
6804 장사꾼의 마이너스 방법 image 김동렬 2011-10-10 20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