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쿠키 국제]
<원문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gCode=int&arcid=0003919659&code=41131111>

달걀
보다 닭이 먼저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유서깊은' 논쟁이 일단락될 전망이라고 미국 CNN방송이 15일 보도했다.

방송은 영국 셰필드대 재료공학과 콜린 프리먼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인용, 이같이 전했다.

프리먼 교수팀은 달걀 껍데기와 닭의 난소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단백질분석, 닭이 없이 달걀이 형성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론
......... 중략.........

'오보클레디딘-17'이라는 단백질은 달걀과 닭의 난소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로, 연구팀은 영국 정부의 수퍼컴퓨터 '헥토르(HECToR)'를 동원해 달걀이 형성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했다.

컴퓨터에 나타난 시뮬레이션 결과는 이 단백질이 달걀 껍데기 형성과정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었다.

프리먼 교수는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닭이 하루만에 몸안에서 계란을 만들어내 매일 알을 낳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게 바로 이 단백질"이라며 "닭의 난소에 이 단백질이 없으면 달걀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닭이 없으면 달걀이 존재할 수 없으며 따라서 닭이 달걀보다 먼저"라는 결론도 내렸다.

CNN은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닭과 달걀의 존재 선후를 가리려는 것은 아니다"며 "이번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인공 뼈 생성 등 의학적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0.07.15 (14:37:56)

어제 출석부 리플에 있지만
과학적 분석만으로는 인간들이 납득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의미가 없소.
과학적 검증보다 논리적 추론이 더욱 중요하오.
완전체와 불완전체에 대한 개념이 없으면
사람들이 인과율 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오.
뭐가 먼저다 순서를 따지자는게 아니라 인과법칙을 논하자는 것이며
인과법칙으로 말하면 원인에 결과가 예비되어 있소.
즉 닭에는 아주 작은 달걀이 들어있지만
달걀에는 닭이 들어있지 않다는 것이오.
순서가 어쨌건 간에 원인 속에 결과가 숨어 있지 않으면 의미없소.
씨앗 속에 미래의 떡잎이 숨어 있듯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이미 있을 것이 다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원인측이 되는 것이오.
달걀이 자라서 닭이 되지 않소.
달걀에서 병아리가 나오는 나오는걸 보고 달걀이 자라서 닭이 된다고 생각하는 바보들도 있는데
병아리가 나오면 이미 닭이오.
병아리도 닭이니까 닭이오.
달걀이 닭으로 변하는게 아니라 그냥 작은 닭이 나오는 것이오.
그렇다면 핵심은 난자와 정자의 수정이고
그 수정이 달걀이 아닌 닭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 중요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38
273 구조론 도서 판매중단인가요? 3 윤민 2020-06-10 1581
272 버림의 미학. 아제 2017-11-29 1581
271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1-25 1580
270 '출산정책의 실패' 에 덧붙여 8 dksnow 2022-06-10 1579
269 0 과 1 사이. 아제 2019-08-15 1578
268 정신 차리자. 1 아제 2019-08-05 1577
267 통제가능성의 모형이란. 3 systema 2018-01-27 1577
266 생명탈핵실크로드 9 - 국가안보의 기초 image 수원나그네 2017-10-28 1577
265 국제기구 2 눈마 2018-09-25 1576
264 바깥으로 난 창을 열어라. 1 systema 2019-04-05 1571
263 땅값집값 21 - 보유세 후퇴는 촛불정부의 직무유기 수원나그네 2018-08-30 1571
262 미래예측에서 미래만들기로 3 수원나그네 2020-05-11 1567
261 텐서 2 현강 2020-08-21 1566
260 골라 볼까요~ image 4 수원나그네 2020-06-06 1565
259 대수 기하 구조 1 systema 2019-10-29 1562
258 [미디어오늘] 한강하구, 국제기구도시를 상상한다 2 수원나그네 2018-11-24 1562
257 요즘 장마철을 뚫고~ image 수원나그네 2018-07-03 1562
256 구조동일성과 리더의 문제. 1 systema 2019-06-20 1560
255 AI 에 정통하거나 관심이 깊은 구조론 동지님께 수원나그네 2018-12-25 1560
254 동적 균형. 3 아제 2017-11-27 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