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301 vote 0 2010.07.12 (00:06:45)

za.JPG

zb.JPG

 zc.JPG


  수학은 관계다. 관계는 만남이다. 어떻게 만나는가이다. 대수는 자연과 인간의 1 대 1 만남이다. 기하는 1 대 모듈화된 다(多)의 만남이고, 구조는 여기에 시간개념을 더하여 사건이 진행되는 전체과정과의 만남이다.

 

  대수의 1 대 1 만남은 혹은 2 대 2의 만남이 될 수도 있고, 3 대 3의 만남이 될 수도 있다. 각각 자연수 1, 2, 3이 된다. 1이든 2든 3이든 그것은 비례이며, 비례의 기본은 1 대 1이다. 반면 기하는 1 대 다(多)의 만남이다. 다(多)는 그냥 여럿이 아니라 모듈화 된 여럿이라는 점이 각별하다.

 

  큰 산 앞에는 항상 큰 강이 있다. 인간은 산과 강을 동시에 만나야 한다. 산만 별도로 만나거나 혹은 강만 따로 만날 수 없다. 산이 있는 곳에는 항상 강이 있기 때문이다. 하루 중에서 아침만 만나거나 혹은 저녁만 만날 수 없다. 하루 안에 둘 다 동시에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앞과 뒤가 그러하고, 시작과 끝이 그러하다. 앞을 만나면 결국 뒤도 만나게 되고, 시작을 만나면 동시에 끝을 만나야 한다. 빛과 그림자처럼 뗄레야 뗄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기하다.

 

  대수에서도 1이 2를 만날 수 있지만 모듈화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원이 다르다. 한 남자가 두 여자를 만나 삼각관계를 이루는 것이 대수라면, 한 여자가 두 남자를 만나되 각각 부부지간이 되고 모자지간이 되는 가족관계가 기하다. 대수에서 한 남자가 두 여자를 만난다 해도 아침과 저녁에 별도로 만나 각각 따로 데이트를 해야 하지만, 기하에서 한 여자가 두 남자를 만난다면 남편과 아들 포함 셋이 같은 식탁에서 같은 시간대를 동시에 공유하는 것이다.

 

  구조는 시간적인 만남이다. 대수의 1 대 1 만남과 다르고, 기하의 1 대 다 만남과도 다른 또다른 차원의 만남이다. 농부가 씨앗을 만난다면 그 씨앗이 자라서 잎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어 그 열매가 다시 씨앗으로 돌아가는 1 사이클 전체과정을 만나는 것이다. 농부는 그 씨앗의 삶 전체와 만난다.


zd.JPG   

  대수는 흩어져 있는 각각을 다른 시간대에 별도로 만나고, 기하는 공간적으로 모듈화 된 전체를 동시에 만나며, 구조는 거기에 시간개념을 더하여 일의 전체과정을 모두 만난다. 구조가 가장 모듈화 된 정도가 높다. 가장 높은 레벨에서의 근원적인 만남이 구조의 세계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97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8
2499 물건을 주워오는 이유 2 김동렬 2019-05-24 4420
2498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18-10-10 4417
2497 김건희 이준석 수수께끼는 풀렸다 김동렬 2022-08-10 4416
2496 이런 자는 죽어야 한다. 뉴시스 김태규 image 2 김동렬 2021-01-18 4413
2495 샘 오취리의 항의 image 12 김동렬 2020-08-07 4411
2494 공유의 깨달음 김동렬 2023-05-29 4407
2493 이것이 윤석열 효과 image 1 김동렬 2022-08-12 4407
2492 무심은 유심이다 1 김동렬 2019-03-18 4406
2491 윤석열이 까이는 이유 김동렬 2022-07-27 4405
2490 강자의 철학과 약자의 처세술 김동렬 2021-08-03 4405
2489 마녀사냥이 일어난 이유 2 김동렬 2021-06-03 4405
2488 윤석열의 죽음 3 김동렬 2020-12-15 4404
2487 공룡의 진실 image 4 김동렬 2023-03-20 4397
2486 억울한 쥴리 1 김동렬 2021-08-01 4397
2485 사랑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1-07-17 4395
2484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김동렬 2021-03-10 4393
2483 아프간의 멸망이유 김동렬 2021-08-17 4391
2482 세계관을 공유하자 4 김동렬 2019-06-29 4391
2481 이재명 이낙연 구조론 김동렬 2021-07-28 4385
2480 한국영화가 뜨는 이유 5 김동렬 2020-02-11 4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