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85 vote 0 2018.11.13 (18:24:01)

      
    차원의 이해


    차원은 매개변수다. 너와 나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너와 나는 일단 뺀다. 그러므로 3차원밖에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1차원 선과 2차원 면과 3차원 입체를 알고 있다. 그러다가 0차원 점과 아인슈타인의 4차원 시간의 등장에 당황하게 된다. 초끈이론의 26차원까지 가버렸다. 그 방향은 확산이다. 무한대 차원이 나오게 생겼다. 망한 거다. 이 과정은 엄격하지 않고 무성의하다. 


    관측자인 인간이 개입하여 혼선을 빚었다. 자연은 그냥 있다. 인간의 개입을 배제하고 그냥을 따라야 한다. 너도 없고 나도 없다. 공간도 없고 시간도 없다. 공간과 시간의 개념은 관측자인 인간의 편의에 불과하다. 너와 내가 만나고자 하므로 그런데 우리가 어디서 만나지? 언제 만나지? 그래서 공간과 시간이 도출된 것이다. 인간을 배제하고 그냥으로 본다면 공간도 없고 시간도 없다.


    너와 나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계가 있고 저울이 있고 대칭이 있다. 에너지가 확산방향이면 흩어지고 수렴방향이면 만난다. 에너지는 고유한 활동성을 가지고 있다. 가만있지 않고 돌아다닌다. 확산방향이면 흩어지고 수렴방향이면 결속된다. 사건은 계를 타고 진행된다. 계를 이룬다는 것은 에너지가 수렴방향이라는 말이다. 에너지가 수렴방향일 때 저울이 작동하여 사건이 진행된다.


   에너지가 계를 이루면 엔트로피에 따라 방향성이 생긴다효율적인 배치가 수학적으로 정해져 있다에너지의 작동은 효율성을 따르며 그것이 생물의 진화 방향이 되고 문명의 진보 방향이 된다. 계는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한다. 그 방법은 대칭을 조직하는 것이다. 자연의 5개 차원은 에너지의 효율적 배치 형태다. 0차원과 사차원이 빠진 것은 계를 모르기 때문이다.


    생명의 진화든 문명의 진보든 에너지의 방향은 반드시 수렴방향이어야 계가 성립하고 사건이 일어나며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원인과 결과, 입력과 출력, 시작과 종결의 대칭이 성립한다. 확산방향이면 망한다. 국가든 회사든 가족이든 확산되면 흩어진다. 가족은 이혼하고 회사는 파산하고 국가는 멸망한다. 사건은 에너지가 계에 가두어져 통제된다는 전제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방향성이 있다. 수렴하여 에너지는 한 점에 모인다. 차원은 에너지가 한 점에 모이기까지의 경과를 설명한다. 한 점에 도달하면서 사건은 종결된다. 하나의 사건은 점에서 종결되지만 그 보존된 에너지가 다른 사건을 촉발하므로 점 역시 다른 사건의 매개가 된다. 그러므로 0차원 점을 배제할 수 없다. 점에 대칭되는 4차원 밀도의 존재를 인정해야 한다. 차원은 다섯이다.


    사건 A와 사건 B가 있다. 종결된 사건 A의 점이 사건 B의 밀도를 건드려 새로운 사건을 촉발한다. 그러므로 점 선 각 입체 밀도의 다섯 차원으로 봐야 한다. 밀도는 중첩이다. 에너지는 수렴방향에서 중첩된다. 에너지 작용은 그 중첩이 풀리면서 일어난다. 즉 점이 모여서 선이 되는게 아니라 선이 끊어진 지점이 점이다. 에너지의 중첩이 풀리는 절차가 입체, 각, 선, 점이 되는 것이다.


    관점이 중요하다. 수학은 계량한다. 계량하는 사람이 있고 계량대상인 물체가 맞은 편에 있다. 대칭되어 있다. 좌표 위에 있다. 자기를 빼고 세는 돼지셈을 하고 있다. 돼지 한 마리는 어디로 갔을까? 인식론의 오류이자 귀납의 오류다. 존재론에 연역으로 갈아타야 한다. 좌표가 있으면 안 된다. 차원은 좌표를 만드는 과정이다. 관측자와 관측대상의 대칭이 아니라 다른 사건과 대칭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8.11.15 (03:43:08)

"생명의 진화든 문명의 진보든 에너지의 방향은 반드시 수렴방향이어야 계가 성립하고 사건이 일어나며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74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751
1784 서프의 승리 의미 김동렬 2006-01-16 13867
1783 왜 그딴 거에 몰입하냐고? image 김동렬 2017-05-20 13867
1782 이해찬의 미소 image 김동렬 2004-12-28 13869
1781 개념의 구조 김동렬 2008-09-01 13872
1780 결국 결렬됬다는군요.. ㅡ.ㅡ 영호 2002-11-21 13873
1779 Re..돌이킬 수 없는 강을 가볍게 건나가는 회창 아다리 2002-09-30 13876
1778 왜 한국인은 강한가? 김동렬 2005-12-25 13877
1777 재보선 유감 김동렬 2005-10-25 13881
1776 내 몸에 딱 맞는 정신을 남기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7-05-08 13882
1775 정운현 눈엔 대통령이 닭벼슬로 보이나? image 김동렬 2003-12-16 13886
1774 개혁당은 끝났다. 김동렬 2003-03-06 13887
1773 한류의 본질은 유교문명의 재발견 image 김동렬 2005-01-12 13892
1772 롤플레잉이라는 단어에서 영감이 많이 떠올랐습니다 아다리 2002-09-24 13894
1771 이승엽 성공할 수 있나? image 김동렬 2003-10-07 13894
1770 유시민, 진중권은 대통령께 배우라. 김동렬 2005-10-12 13894
1769 조순형의 매당쇼 image 김동렬 2004-03-06 13895
1768 DJ의 여전한 지혜로움 김동렬 2004-09-08 13896
1767 이문열 실패기 김동렬 2004-09-16 13897
1766 즐거운 한가위 되시길 image 김동렬 2004-09-25 13897
1765 신라시대의 상속문제 김동렬 2003-03-01 13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