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86 vote 0 2018.10.18 (18:21:36)


    이익균형


    인간을 움직이는 것은 권력이다. 권력은 통제가능성이다. 내가 상대방을 통제할 수 있다는 혹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확신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다.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고 동료의식을 느끼게 한다. 집단이나 혹은 동료에게 작용했을 때 기대하는 반응이 나와야 한다. 그럴 때 호르몬이 나와준다. 무의식이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의사결정구조 안에서 호흡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노예는 권력이 없다. 인권이 없다. 노예는 주인을 이길 수 없다. 통제할 수 없다.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반응과 피드백을 기대할 수 없다. 상황을 설계할 수 없다. 노예는 개인이지만 주인은 조직을 갖추고 있다. 상놈은 개인으로 존재하고 양반은 조직의 비호를 받는다. 집단 안에서 역할을 얻었을 때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 역할은 대표성을 가진다. 사건은 기승전결이다.


    기승전결로 진행되는 연결고리 안에서 하나의 고리를 맡을 때 대표성을 얻는다. 권력을 가진다. 노예는 대표성을 가질 수 없다. 그러므로 노예는 일하지 않는다. 피라미드는 노예가 아니라 자유민이 쌓은 것으로 밝혀졌다. 노예를 채찍으로 다룰 수 있다고 믿지만 천만에. 면화 수확철에 일시적으로 노예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지만 대부분 노예는 소작농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진다.


    소작농은 자영농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진다. 고대사회가 노예노동을 쓰는 이유는 워낙 생산성이 낮은 사회이기 때문이다. 도시가 발달하여 고도의 분업화된 사회가 되면 노예노동은 쓸모가 없다.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수확기에 일시적인 노동력을 필요로 하거나 아니면 잡일을 하는 하녀로 쓰지 않으면 노예노동은 생산성이 낮아 일부 사유재산과 경작권을 가지는 농노로 바뀐다.


    생산성은 의사결정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의사결정하면 권력을 가진다. 여기에 균형이 있다. 결혼도 어느 면에서 행복끝 고생시작이니 파트너의 노예가 되는 셈이고 취업도 마찬가지다. 회사의 노예가 된다. 가족도 마찬가지다. 가출로 얻는 이익과 가족에 남아서 얻는 이익 사이에서 균형이 있다. 가족이 유지되는 이유는 각자의 이익이 있기 때문이다. 균형점이 있으니 통제된다.


    전혀 통제할 수 없으면 사회는 깨진다. 이익균형이 반드시 물질적 이익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심리적인 이익이 크다. 호르몬과 무의식과 스트레스와 행복감이 결정한다. 회사에 취업하면 백수보다 사회적 지위가 올라간다. 이익이 있다는 말이다. 균형이 완전한 평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어차피 인간은 외모로 신체로 피부색으로 지능지수로 능력으로 차별된다. 분명히 차이가 있다.


    이익균형은 팀을 떠날 것인가 팀에 가담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어떤 균형점이 있다는 말이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과도 같다. 균형이 무너져도 군대는 가야 한다. 끌려가는 것이다. 한국남자의 군입대는 이익균형과 맞지 않다. 일방적으로 당하는 것이다. 사회의 많은 측면에서 이익균형이 깨져 있다. 그러므로 사회는 불안정한 것이다. 사회의 범죄가 일어나고 일탈이 일어나는 이유다.


    그러나 완벽하지 않지만 균형점이 있다. CEO가 되면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서울대를 가면 더 많은 공부를 요구받는다. 편한 노동자가 될 수도 있고 놀고 지방대를 갈 수도 있다. 거기에 균형이 있는 것이며 그 균형에 의해 인간은 사회에 대해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균형이 무너지면 사회는 깨진다. 노동자는 파업하고 CEO는 배임하고 회사원은 횡령하고 국회의원은 삽질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8.11.01 (13:46:33)

"거기에 균형이 있는 것이며 그 균형에 의해 인간은 사회에 대해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균형이 무너지면 사회는 깨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16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0
4299 일본의 경우 1 김동렬 2018-12-27 3504
4298 진리는 보편성이다 1 김동렬 2018-12-26 4539
4297 인생의 철학 1 김동렬 2018-12-25 4163
4296 관성력과 이중의 역설 2 김동렬 2018-12-25 3123
4295 구조동일성 2 김동렬 2018-12-23 3415
4294 바른말 하는 사람을 믿지 마라 3 김동렬 2018-12-23 4504
4293 순정 애정 열정 우정 욕정 1 김동렬 2018-12-20 4143
4292 맞는 말 하는 사람을 조심하라. 1 김동렬 2018-12-20 4235
4291 구조론사람의 길 4 김동렬 2018-12-18 3704
4290 행복은 없다 image 5 김동렬 2018-12-18 3858
4289 패배자의 즐거움 1 김동렬 2018-12-17 3585
4288 계통을 일으켜라 1 김동렬 2018-12-14 3665
4287 깨달음은 에너지다 1 김동렬 2018-12-13 3777
4286 깨달음으로 가는 길 3 김동렬 2018-12-12 3537
4285 깨달음이라야 한다 2 김동렬 2018-12-10 3586
4284 형식이 내용에 앞선다 1 김동렬 2018-12-10 4050
4283 구조론은 사건의 플랫폼이다. 4 김동렬 2018-12-09 3141
4282 쉬운 그림풀이 image 1 김동렬 2018-12-07 3389
4281 아마추어의 주관과 프로의 객관 1 김동렬 2018-12-07 3348
4280 쉬운 엔트로피 1 김동렬 2018-12-06 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