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33 vote 0 2018.09.26 (06:57:08)


 어렸을 적 기억에 남는 장면 하나는 강자와 약자가 한 장소에 공존할 때 느껴지는 어색함 혹은 전율함입니다.

 그 순간을 어색하지 않게 넘어갈 수 있는 자연스러운 포즈는 무엇일까요? 

 같이 손잡고 더 넓은 배후지를 향해가는 모습입니다.

 이 장면이 제게 강렬했던 이유는 모든 관계와, 공동체와, 역사의 원형이 되는 하나의 포즈에 대한 영감을 주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게임을 설계하는 자가 신의 포즈에 서는 자입니다. 그 포즈를 알아보는 심미안을 닦아야 합니다..

 만약 그 배후지가 없다면, 그러므로 공동체의 발전이 없다면, 수많은 갈등은 약자를 향하게 됩니다. 

 최종적으로는 부를 수 있어야 합니다. 자신의 설계도를 보일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계보는 연결됩니다.


 신의 포즈에 선다는 것은 또한 인생의 전략에 관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개인은 질의 위치에 설수 없고, 고작해야 입자의

 위치에 설수 있습니다. 스스로 대표성의 위치에 서 있을 때, 공동체의 에너지에 의해 선택되고, 그것은 기적 혹은 확률의 형태   로 나타납니다.  그 시간을 견뎌내기 위해서 신과, 천하와 친해져보고 볼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9.26 (12:26:02)

정말 그렇습니다. 공감 !
프로필 이미지 [레벨:19]id: 배태현배태현

2018.09.26 (15:17:40)

좋은 글 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96
1555 사유리의 무개념 image 1 김동렬 2018-01-16 2567
1554 거시세계의 불연속성 image 2 chow 2023-01-30 2572
1553 < '소설'이라 이름 붙이고 직감이라고 읽어야 하리> 3 아란도 2021-10-07 2573
1552 [제민] 꿈꾸는 자여 주인이 되어라 image ahmoo 2017-06-22 2584
1551 얼룩말의 줄무늬 역할 김동렬 2018-09-13 2593
1550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11-03 2593
1549 생각의 정석 70회 오세 2015-03-14 2599
1548 지금 우리 교육은 모순의 시대 3 이상우 2022-10-12 2599
154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2-22 2602
1546 구조론을 배운 홍어 김동렬 2018-02-09 2606
1545 사건을 이해해야 전략을 이해한다. systema 2021-09-26 2607
1544 구조론으로 익힌것. 눈마 2016-12-23 2610
1543 아인슈타인의 절대성이 문제 chow 2022-09-19 2612
1542 경주최부자 후손이 개천절에~ image 수원나그네 2018-09-19 2613
1541 집을 사도 보수가 되지 않는 사람이나 조건이 있나요? 1 서단아 2023-07-19 2622
1540 한국 인문사회과학 풍토 눈마 2017-03-24 2623
1539 미국에서 큰 사회문제가 되는 펜타닐 관련자료 1 mowl 2022-07-09 2623
1538 사이비가 창궐하는 세상 SimplyRed 2023-08-25 2623
1537 손흥민이 잘하는 이유 image 4 이금재. 2020-10-05 2629
1536 진화는 마이너스다 1 김동렬 2018-07-31 2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