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7]눈마
read 1619 vote 0 2018.09.25 (00:02:36)

한마디로, 돈이 없습니다.

현대의 국제기구의 기원이 미국의 2차대전 승리 (1945)로 인한 승전보상금과, 유럽의 견제 (NATO)로 이뤄진 것이죠.


반기문은 노무현 대통령이 의도적으로 뛰워준거고, 강경화는 노쇠화된 관료인 외교통상부의 비주류라 국제기구쪽에 밀려나있던 케이스죠. 서울대출신도, 외무고시출신도 아닌 강경화를 외교통상부에서 좋아할 이유가 없습니다.


여기서 중요한데, 남한은 IMF이후 정확히는 YS시절의 세계화이후, 많은 국제 분담금을 국제기구에 냅니다. 여기서, 기획재정부가 관여하는거죠. 외통부와 기재부는 라이벌 관계이지만, 노른자위는 기재부가 갖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기구가 힘을 못쓰는 이유는, 중국의 일대일로만큼의 자본력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고, 그럴 생각도 없다는데 있죠. 국제기구의 탄생후 50년이 흘렀다면, 그 조직 내부관리도 안되고 있다고 봐야합니다.


결론은, 중국의 일대일로의 자금을 국제연대쪽으로 넣어야하는데, 돈을 달라고 하는데는 항상 명분이 따라야합니다. 


현대의 국제기구의 돈의 흐름은, 정확히, US International Aid (USAID)를 따라 갑니다. 전세계의 권역별로  사무실을 두고 있죠. 물론 손대는 족족 말아먹습니다. 여기서, 전세계 국가가 200여개 입니다. 민주화도 되고 자본주의도 정착된 나라가 몇나라나 될까요?


종교가 설치거나, 마피아가 설치고, 아이들 유괴하고 부녀자 강간하고, 추장노릇하고, 마약밀매하는 나라들이 태반입니다. 여기다가, 원조 조금 하면서, 잘되기를 바라는게 현대 국제기구의 수준이구요. 


종교나 마피아국가로 퇴행하는게 아니라, 절대 최악에서 벗어나려고 선택한게 종교국가 내지 깡패국가가 되는거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9.25 (07:27:06)

돈은 세상에 널린게 돈입니다.
없으면 찍어내면 되지요.
그게 구조론이지요.

돈 없으니 유학가지 말자는 거나 마찬가지군요.
유학도 돈 쌓아놓은 후 가야한다는 얘기 군요.
눈마님은 아마도 미국에 계신 분 같은데,
초기 미국유학파들 얘기 못들었나요?
[레벨:6]파일노리

2018.09.25 (21:02:34)

현재 국제기구의 위상이 낮아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큰형님이 있어야 분쟁이 조율되는건데 전혀 그런 역할을 못하고 있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924
2017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57
2016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452
2015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444
201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37
2013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420
2012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87
2011 척력. 2 아제 2010-07-14 7370
2010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70
2009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55
200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44
2007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333
2006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327
2005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325
2004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321
2003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97
2002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278
2001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78
2000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57
1999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253
1998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