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57 vote 0 2018.09.13 (13:47:44)

      
    얼룩말의 줄무늬 역할


    오랫동안 학계에서 논란이 되어온 얼룩말의 줄무늬가 가지는 역할은 체체파리 설이 유력한데 그것은 망외의 수확이고 본질은 따로 있다고 본다. 얼룩말 줄무늬의 용도는 가장 큰 용도는 동료의 이동을 재빨리 알아채고 무리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보호색이 아니라 경계색에 가깝다. 보호색도 경계색도 아닌 제 3의 색이라고 할 수도 있다.


    호랑이의 줄무늬는 수풀의 관목에 숨어 초식동물의 눈에 잘 안 띄게 감추는 역할이다. 호랑이의 줄무늬는 관목처럼 보이고 표범의 꽃무늬는 나뭇잎처럼 보인다. 표범은 나뭇잎 사이에 숨어 지나가는 초식동물을 노린다. 호랑이와 표범의 경우 자신을 숨기는 것은 맞는데 포식자인 적으로부터 보호하는 색은 아니다. 굳이 말하면 은신색이라 하겠다.


    초식동물은 포식자의 눈으로부터 자신을 감추는 보호색을 가진다. 멧돼지 새끼의 줄무늬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젖소의 얼룩무늬나 강아지의 바둑이 무늬는 자연에서 나타날 수 없는 색이다. 러시아 과학자가 여우를 개처럼 키웠더니 개와 같은 바둑이 무늬가 나타났다고 한다. 성격만 변한 것이 아니라 겉모습까지 변한 것이다. 말이나 소도 같은 원리다.


    말과 소와 돼지나 토끼는 가축화되면서 멧돼지나 야생마에 없는 색깔이 나타났다. 젖소의 얼묵무늬나 달마시안의 점박이 무늬는 야생에서 생겨날 수 없다. 이런 무늬는 보호색도 아니고 경계색도 아니고 굳이 말하자면 친화색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동료와 친해지기 위한 색깔이다.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면 친화색 얼룩무늬가 생긴다고 볼 수 있다. 

 

    얼룩말의 줄무늬는 보호색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눈에 잘 띈다. 오히려 말벌의 줄무늬처럼 눈에 잘 띄게 하는 경계색에 가깝다. 그러나 얼룩말의 줄무늬가 무서워 도망칠 포식자는 없다. 시력이 나쁜 얼룩말은 줄무늬가 없으면 동료 얼룩말을 누떼로 오인하여 무리가 함께 이동하지 못하고 혼자 낙오될 수 있다. 낙오되면 사자나 하이에나떼의 밥이다.


    누떼는 수십만 마리가 대집단을 이루고 숫자에 숨으면 된다. 얼룩말은 수십 마리가 소집단을 이루었다가 혼자 낙오되어 사자나 하이에나 무리에게 포위될 수 있다. 얼룩말이 시력이 좋은 기린과 함께 다니는 이유는 관목의 그늘에 숨어 있는 사자를 시력이 좋은 기린이 잘 찾아내기 때문이다. 얼룩말은 시력이 나빠 시력이 좋은 타조와도 함께 다닌다.


    포식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밤에는 얼룩말의 줄무늬가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제일 먼저 사자를 발견하고 도망치는 얼룩말을 따라 무리가 일제히 내달려야 한다. 한 마리가 무리에서 낙오되면 사자무리에 의해 사냥된다. 대부분의 동물이 밤에 사냥한다는 사실을 모르므로 헷갈린 것이다. 보호색과 경계색만 있는게 아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타조와 얼룩말의 상리공생관계 : 시력은 좋지만 청각과 후각이 약한 타조와 시력은 별로지만 청각과 후각이 좋은 얼룩말은 감각을 이용하여 서로의 천적이 오면 알려준다.[나무위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98
2090 대니얼 카너먼의 돌 1 chow 2023-06-03 5447
2089 국토학교를 소개합니다 수원나그네 2023-06-03 5441
2088 학교폭력예방법의 개정 방향 이상우 2023-05-30 5506
208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5-24 6003
2086 진보와 보수 1 레인3 2023-05-22 6088
2085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5-10 6413
2084 仁流 image 덴마크달마 2023-05-10 6452
2083 사토시 나카모토 추정 인물 image 2 오리 2023-05-09 6487
2082 학폭예방법의 가장 큰 문제는 관계를 배울 기회를 실종시켜 버렸다는 점 이상우 2023-05-08 6005
2081 감자 보급과 이중의 역설 SimplyRed 2023-05-06 5778
2080 1980년대, 2000년대의 2 사이클 dksnow 2023-05-06 5181
207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4-26 5196
2078 구글 바드 테스트 image 1 chow 2023-04-21 5177
207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김동렬 2023-04-13 4880
2076 구조론, 내시균형과 컴퓨터게임 SimplyRed 2023-04-11 5095
2075 ChatGPT의 훈련 방법 image chow 2023-03-24 6432
2074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3-22 5358
2073 노블 vs 도킨스 1 오리 2023-03-18 5657
2072 대중음악과 발성의 구조 SimplyRed 2023-03-17 4725
2071 빙ai에게 구조론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image 1 오민규 2023-03-15 4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