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58 vote 0 2018.09.13 (13:47:44)

      
    얼룩말의 줄무늬 역할


    오랫동안 학계에서 논란이 되어온 얼룩말의 줄무늬가 가지는 역할은 체체파리 설이 유력한데 그것은 망외의 수확이고 본질은 따로 있다고 본다. 얼룩말 줄무늬의 용도는 가장 큰 용도는 동료의 이동을 재빨리 알아채고 무리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보호색이 아니라 경계색에 가깝다. 보호색도 경계색도 아닌 제 3의 색이라고 할 수도 있다.


    호랑이의 줄무늬는 수풀의 관목에 숨어 초식동물의 눈에 잘 안 띄게 감추는 역할이다. 호랑이의 줄무늬는 관목처럼 보이고 표범의 꽃무늬는 나뭇잎처럼 보인다. 표범은 나뭇잎 사이에 숨어 지나가는 초식동물을 노린다. 호랑이와 표범의 경우 자신을 숨기는 것은 맞는데 포식자인 적으로부터 보호하는 색은 아니다. 굳이 말하면 은신색이라 하겠다.


    초식동물은 포식자의 눈으로부터 자신을 감추는 보호색을 가진다. 멧돼지 새끼의 줄무늬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젖소의 얼룩무늬나 강아지의 바둑이 무늬는 자연에서 나타날 수 없는 색이다. 러시아 과학자가 여우를 개처럼 키웠더니 개와 같은 바둑이 무늬가 나타났다고 한다. 성격만 변한 것이 아니라 겉모습까지 변한 것이다. 말이나 소도 같은 원리다.


    말과 소와 돼지나 토끼는 가축화되면서 멧돼지나 야생마에 없는 색깔이 나타났다. 젖소의 얼묵무늬나 달마시안의 점박이 무늬는 야생에서 생겨날 수 없다. 이런 무늬는 보호색도 아니고 경계색도 아니고 굳이 말하자면 친화색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동료와 친해지기 위한 색깔이다.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면 친화색 얼룩무늬가 생긴다고 볼 수 있다. 

 

    얼룩말의 줄무늬는 보호색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눈에 잘 띈다. 오히려 말벌의 줄무늬처럼 눈에 잘 띄게 하는 경계색에 가깝다. 그러나 얼룩말의 줄무늬가 무서워 도망칠 포식자는 없다. 시력이 나쁜 얼룩말은 줄무늬가 없으면 동료 얼룩말을 누떼로 오인하여 무리가 함께 이동하지 못하고 혼자 낙오될 수 있다. 낙오되면 사자나 하이에나떼의 밥이다.


    누떼는 수십만 마리가 대집단을 이루고 숫자에 숨으면 된다. 얼룩말은 수십 마리가 소집단을 이루었다가 혼자 낙오되어 사자나 하이에나 무리에게 포위될 수 있다. 얼룩말이 시력이 좋은 기린과 함께 다니는 이유는 관목의 그늘에 숨어 있는 사자를 시력이 좋은 기린이 잘 찾아내기 때문이다. 얼룩말은 시력이 나빠 시력이 좋은 타조와도 함께 다닌다.


    포식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밤에는 얼룩말의 줄무늬가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제일 먼저 사자를 발견하고 도망치는 얼룩말을 따라 무리가 일제히 내달려야 한다. 한 마리가 무리에서 낙오되면 사자무리에 의해 사냥된다. 대부분의 동물이 밤에 사냥한다는 사실을 모르므로 헷갈린 것이다. 보호색과 경계색만 있는게 아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타조와 얼룩말의 상리공생관계 : 시력은 좋지만 청각과 후각이 약한 타조와 시력은 별로지만 청각과 후각이 좋은 얼룩말은 감각을 이용하여 서로의 천적이 오면 알려준다.[나무위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47
1890 성 노동자 어떻게 바라볼까? 7 김동렬 2013-03-25 6174
1889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09-08-28 6162
1888 빈곤층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는? 13 김동렬 2013-10-17 6140
1887 돔지붕의 문제 image 8 김동렬 2013-01-21 6140
1886 문제 하나 더 '더 헌트' image 9 김동렬 2013-02-26 6133
1885 재미있는 무한동력 5 김동렬 2014-06-23 6127
1884 중국은 왜 대포와 시계를 만들지 못했나? 2 김동렬 2013-08-24 6111
1883 R e l e a s e . . image 7 조영민 2010-06-07 6106
1882 잘못 알려진 고대사 image 4 김동렬 2014-01-30 6102
1881 진보와 보수 1 레인3 2023-05-22 6091
1880 천재발견 image 6 김동렬 2013-11-29 6081
1879 권구조담 1 ░담 2010-08-26 6081
1878 몸과 마음의 이분법을 구조론으론 어떻게 극복을 하는가? 오세 2009-12-03 6080
1877 피라미드는 삼각형인가? image 냥모 2013-03-18 6076
1876 신은 존재하는가? 4 양을 쫓는 모험 2009-10-27 6072
1875 백제의 패배이유 김동렬 2013-12-04 6045
1874 만유척력에 관하여.. 1 노란고양이 2008-12-10 6035
1873 끝내 이기는 세력의 이유 2 ░담 2010-05-12 6020
1872 전제를 의심하라. 4 김동렬 2013-12-11 6015
1871 학폭예방법의 가장 큰 문제는 관계를 배울 기회를 실종시켜 버렸다는 점 이상우 2023-05-08 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