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77 vote 0 2018.09.13 (13:47:44)

      
    얼룩말의 줄무늬 역할


    오랫동안 학계에서 논란이 되어온 얼룩말의 줄무늬가 가지는 역할은 체체파리 설이 유력한데 그것은 망외의 수확이고 본질은 따로 있다고 본다. 얼룩말 줄무늬의 용도는 가장 큰 용도는 동료의 이동을 재빨리 알아채고 무리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보호색이 아니라 경계색에 가깝다. 보호색도 경계색도 아닌 제 3의 색이라고 할 수도 있다.


    호랑이의 줄무늬는 수풀의 관목에 숨어 초식동물의 눈에 잘 안 띄게 감추는 역할이다. 호랑이의 줄무늬는 관목처럼 보이고 표범의 꽃무늬는 나뭇잎처럼 보인다. 표범은 나뭇잎 사이에 숨어 지나가는 초식동물을 노린다. 호랑이와 표범의 경우 자신을 숨기는 것은 맞는데 포식자인 적으로부터 보호하는 색은 아니다. 굳이 말하면 은신색이라 하겠다.


    초식동물은 포식자의 눈으로부터 자신을 감추는 보호색을 가진다. 멧돼지 새끼의 줄무늬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젖소의 얼룩무늬나 강아지의 바둑이 무늬는 자연에서 나타날 수 없는 색이다. 러시아 과학자가 여우를 개처럼 키웠더니 개와 같은 바둑이 무늬가 나타났다고 한다. 성격만 변한 것이 아니라 겉모습까지 변한 것이다. 말이나 소도 같은 원리다.


    말과 소와 돼지나 토끼는 가축화되면서 멧돼지나 야생마에 없는 색깔이 나타났다. 젖소의 얼묵무늬나 달마시안의 점박이 무늬는 야생에서 생겨날 수 없다. 이런 무늬는 보호색도 아니고 경계색도 아니고 굳이 말하자면 친화색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동료와 친해지기 위한 색깔이다.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면 친화색 얼룩무늬가 생긴다고 볼 수 있다. 

 

    얼룩말의 줄무늬는 보호색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눈에 잘 띈다. 오히려 말벌의 줄무늬처럼 눈에 잘 띄게 하는 경계색에 가깝다. 그러나 얼룩말의 줄무늬가 무서워 도망칠 포식자는 없다. 시력이 나쁜 얼룩말은 줄무늬가 없으면 동료 얼룩말을 누떼로 오인하여 무리가 함께 이동하지 못하고 혼자 낙오될 수 있다. 낙오되면 사자나 하이에나떼의 밥이다.


    누떼는 수십만 마리가 대집단을 이루고 숫자에 숨으면 된다. 얼룩말은 수십 마리가 소집단을 이루었다가 혼자 낙오되어 사자나 하이에나 무리에게 포위될 수 있다. 얼룩말이 시력이 좋은 기린과 함께 다니는 이유는 관목의 그늘에 숨어 있는 사자를 시력이 좋은 기린이 잘 찾아내기 때문이다. 얼룩말은 시력이 나빠 시력이 좋은 타조와도 함께 다닌다.


    포식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밤에는 얼룩말의 줄무늬가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제일 먼저 사자를 발견하고 도망치는 얼룩말을 따라 무리가 일제히 내달려야 한다. 한 마리가 무리에서 낙오되면 사자무리에 의해 사냥된다. 대부분의 동물이 밤에 사냥한다는 사실을 모르므로 헷갈린 것이다. 보호색과 경계색만 있는게 아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타조와 얼룩말의 상리공생관계 : 시력은 좋지만 청각과 후각이 약한 타조와 시력은 별로지만 청각과 후각이 좋은 얼룩말은 감각을 이용하여 서로의 천적이 오면 알려준다.[나무위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92
1793 생명탈핵실크로드 10 - 재미있었던 날들 그리고 옥천행사 image 수원나그네 2017-11-11 1778
1792 4대강 만행을 돌이켜본다 수원나그네 2018-03-11 1781
1791 관료를 다루는 법 1 수원나그네 2018-09-25 1781
1790 생명탈핵실크로드 23 - BTN뉴스 "한빛원전을 감시하는 시민들" image 수원나그네 2018-03-15 1782
1789 생명로드 28 - 탈원전, 우리의 양심을 찾는 길 image 2 수원나그네 2018-10-08 1790
1788 양자얽힘의 부정, 아인슈타인의 유령작용 3 현강 2020-08-22 1790
1787 왜 마이너스인가. 2 아제 2018-06-04 1791
1786 땅값 집값 문제 14 - 재건축 문제의 해법 image 수원나그네 2018-01-25 1791
1785 [제민] 주거복지정책의 성공을 기원한다 2 ahmoo 2017-12-13 1792
1784 인간은 바보다. 1 아제 2018-01-06 1793
1783 어떤 둘은 만나지 않는다 챠우 2019-08-08 1793
1782 구조에 대한 자본시장의 비유 하나 3 현강 2019-09-16 1794
1781 한중일 엘리트 dksnow 2022-03-25 1797
1780 생명로드 26 - 생명,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image 1 수원나그네 2018-07-16 1798
1779 [제민] 연약한 공유지를 지켜라 2 ahmoo 2018-09-04 1798
1778 개훈련의 원리 1 이금재. 2020-09-18 1801
1777 자른 흔적도 붙인 흔적도 없다. 아제 2017-11-12 1806
1776 [비교요망] 조선일보절독운동 디자인 image 10 수원나그네 2020-05-14 1807
1775 사회주택 이야기 1 ahmoo 2017-10-24 1809
1774 이해찬과 김병준 3 수원나그네 2020-07-06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