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다원이
read 1694 vote 1 2018.08.21 (00:53:37)

선문답 - 질문에 답하려 하면 실패. 물었으니 답해야 한다는 이 프레임에 빠지면 즉시 패배. 묻는다는것 그 자체를 복제하는게 갈 길이다.
선승이 물을 때는 답을 바라는 게 아니라, (너같은 초짜에게 답을 바라지도 않는다 마는) 너도 나처럼 깨달은 경지에서 물음을 던지는 입장이 되어야 한다. 라고 외치는 것. 그걸 모르고 질문에 대한 정답을 맞추려 하는 순간, (스승이 이미 예견한 대로) 당신은 이미 졌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8.21 (09:11:18)

거대한 산을 작은 플라스틱 모형에 잡아가두면 곤란합니다.

물음에 답하려는 무의식을 보라는 관점은 하나의 단서에 불과합니다. 

그게 작은 힌트 하나는 되겠지요.


복제는 깨달음이 아니라 모방이고 표절입니다.

복제를 할 수 있는 복제의 자궁을 건설해야 깨달음입니다.


셰익스피어 소설을 읽고 그것을 복제하여 적과 흑을 쓰면 깨달음이지만

셰익스피어 햄릿을 읽고 햄릿 2부나 속편을 쓰면 그냥 표절입니다.


산이 '야 나는 얼마나 높냐?' 하고 물으면 

에베레스트 형님은 높이가 8848미터인데요? <- 이렇게 받으면 오백방을 맞아야 합니다.


질문에 답을 했으니까 질문의 관점을 획득하지 못한 거지요.

바다가 '야 나는 얼마나 깊냐?' 하고 받아야 좀 아는 거지요.


산과 바다는 대칭을 이루어 호응이 됩니다.

질문에 답하지 않고 대칭을 이루어 호응시키는 방법으로 완성해야 합니다.


그런게 없이 그냥 따라하는건 호응이 아니지요.

시인이 댓구를 쳐도 운을 띄우면 라임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림의 반을 그리면 나머지 반을 채워서 완성시키는 것이 호응입니다.

그냥 똑같이 따라하는건 어린이 행동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8.21 (15:15:09)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92 카메라 기자들의 파업(?) 스마일 2017-11-09 1706
391 제안합니다! 1 cintamani 2018-07-18 1705
390 오늘 처음 해본 온라인 강의 4 수원나그네 2020-03-23 1704
389 비트코인에 대한 큰 착각 1 부루 2018-01-11 1704
388 2018년 2부 함께가는 대한민국 토론을 보며 1 달타냥(ㅡ) 2018-01-01 1703
387 공부란 무엇인가 말시인 2019-09-02 1702
386 유튜브가 세상을 지배합니다^^ 까뮈 2017-11-27 1702
385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하는 아이를 변화시키지 못하는 이유 2 이상우 2019-12-04 1699
384 한국의 수준 챠우 2019-10-30 1699
383 극단적인 자유주의(지방분권)으로 강대국이 못 되는 인도네시아 부루 2017-11-10 1699
382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26 1698
381 화폐 시스템의 발전과 세력전략 3 현강 2017-12-25 1697
380 문화일보가 만든 나와 딱 맞는 정당 찾기? 2 슈에 2020-03-25 1696
379 금본위제가 아닌 부동산 본위제 유가 증권 혁명 제안. 3 노매드 2018-09-17 1696
» 선문답은 복제다 - 작은 깨달음 2 다원이 2018-08-21 1694
377 연탄재..그리고.. 아제 2017-11-29 1695
376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1 ahmoo 2016-09-22 1694
375 8월 1일 구조론 모임 후기 3 오리 2019-08-02 1692
374 당대표 이해찬 !! 1 다원이 2018-08-25 1692
373 인과의 역전. 아제 2017-11-22 1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