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31 vote 0 2018.07.30 (09:59:31)

    https://news.v.daum.net/v/20180730050605621?d=y


      
   모든 종이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려고 한다는 전제부터가 틀렸습니다. 유전자 남겨서 뭐하게? 유전자 남겨서 쌀이 나오냐 떡이 나오냐? 생존전략과 세력전략이 있는 것이며 인간은 세력전략을 쓰는 것이지요. 


    "자신의 번식능력을 포기하는 대신 자식이나 손주를 도와 결과적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는 이득을 얻는다."[기사발췌]


    이런 식의 어떻게든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린다는 생각은 틀렸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어머니설, 할머니설, 세대갈등설 다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지만 전체적으로 틀렸습니다. 유전자를 퍼뜨리는게 아닙니다.


   진화의 근본은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하여 등의 무슨 위하여 곧 어떤 이득에 있는게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있으며 게임에 이기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득은 없다는 거지요. 종의 목적은 환경의 통제입니다.


    호르몬이 중요한데 동물이든 사람이든 무리 중의 누군가 출산을 하면 자신의 출산을 중지하고 어머니 행동을 합니다. 개가 고양이 새끼를 키운다든가 하는 것인데 자기 새끼는 낳지 않고 남의 새끼를 키웁니다.


    진화생물학 - 모든 종은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려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어머니 가설, 할머니 가설, 세대갈등설은 모두 자기 유전자를 남길 확률을 높이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구조생물학 - 모든 종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이 우위에 서려고 한다. 그 방법은 집단 안에서 역할을 가지는 것이다. 집단 안에서 역할을 얻을 수 있다면 굳이 자기 유전자를 남겨야 할 이유가 없다. 


    어떤 목적이나 의도로 설명하는 것은 전부 잘못된 것입니다.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은 바다를 향한 강렬한 열망 때문이 아니고 지구의 중력 때문입니다. 유전자를 남기려는 의도는 없고 단지 환경에 대한 우위가 있습니다.


    왜 우위인가? 우위가 아니면 열위이고 열위는 결정권이 없기 때문에 어떤 판단도 하지 않습니다. 이기는 선택과 지는 선택이 있으며 환경을 이기는 결정이 남아서 결과적으로 진화가 되는 것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7.30 (19:16:23)

놀라운 통찰입니다. 구조론의 탁월함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797
555 사건의 눈 systema 2019-10-28 1485
554 대수 기하 구조 1 systema 2019-10-29 1580
553 생명로드47- 동해안 걷기 11월말 image 1 수원나그네 2019-11-02 1424
552 구조적인 교육 image 2 김동렬 2019-11-02 2226
551 결맞음을 끌어내기 systema 2019-11-03 1416
550 사건을 반영하는 언어 systema 2019-11-11 1427
549 구조론으로 생각하려면 2 챠우 2019-11-14 1556
548 생명로드48- 홍콩을 회상하며 1 수원나그네 2019-11-16 1378
547 시나리오 쪼개보기. 1 systema 2019-11-16 1679
546 생명로드49 - 동해안 순례 사진과 성명서 image 수원나그네 2019-12-03 1307
545 소실점의 장악 systema 2019-12-05 1674
544 생명로드50- 지구촌 '마더'를 만드는 길 image 수원나그네 2019-12-10 1177
543 생명로드51 - 후원을 희망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12-20 1413
542 통제가능성의 획득과 통제필요성의 소실 현강 2020-01-04 1255
541 구조의 확장 현강 2020-01-07 1189
540 인간이 쓰는 언어에는 그럴만한 사정이 있다. 현강 2020-01-08 1421
539 올해는 북극이 춥고 남쪽이 따뜻하다 image 1 김동렬 2020-01-08 1874
538 하나를 바꾸려면 전부 다 바꿔야 한다. 현강 2020-01-09 1493
537 생산력은 권력의 생산규모이다. 2 현강 2020-01-12 1435
536 이념이 밥이다. 1 systema 2020-01-13 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