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08 vote 0 2018.07.30 (09:59:31)

    https://news.v.daum.net/v/20180730050605621?d=y


      
   모든 종이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려고 한다는 전제부터가 틀렸습니다. 유전자 남겨서 뭐하게? 유전자 남겨서 쌀이 나오냐 떡이 나오냐? 생존전략과 세력전략이 있는 것이며 인간은 세력전략을 쓰는 것이지요. 


    "자신의 번식능력을 포기하는 대신 자식이나 손주를 도와 결과적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는 이득을 얻는다."[기사발췌]


    이런 식의 어떻게든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린다는 생각은 틀렸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어머니설, 할머니설, 세대갈등설 다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지만 전체적으로 틀렸습니다. 유전자를 퍼뜨리는게 아닙니다.


   진화의 근본은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하여 등의 무슨 위하여 곧 어떤 이득에 있는게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있으며 게임에 이기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득은 없다는 거지요. 종의 목적은 환경의 통제입니다.


    호르몬이 중요한데 동물이든 사람이든 무리 중의 누군가 출산을 하면 자신의 출산을 중지하고 어머니 행동을 합니다. 개가 고양이 새끼를 키운다든가 하는 것인데 자기 새끼는 낳지 않고 남의 새끼를 키웁니다.


    진화생물학 - 모든 종은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려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어머니 가설, 할머니 가설, 세대갈등설은 모두 자기 유전자를 남길 확률을 높이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구조생물학 - 모든 종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이 우위에 서려고 한다. 그 방법은 집단 안에서 역할을 가지는 것이다. 집단 안에서 역할을 얻을 수 있다면 굳이 자기 유전자를 남겨야 할 이유가 없다. 


    어떤 목적이나 의도로 설명하는 것은 전부 잘못된 것입니다.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은 바다를 향한 강렬한 열망 때문이 아니고 지구의 중력 때문입니다. 유전자를 남기려는 의도는 없고 단지 환경에 대한 우위가 있습니다.


    왜 우위인가? 우위가 아니면 열위이고 열위는 결정권이 없기 때문에 어떤 판단도 하지 않습니다. 이기는 선택과 지는 선택이 있으며 환경을 이기는 결정이 남아서 결과적으로 진화가 되는 것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7.30 (19:16:23)

놀라운 통찰입니다. 구조론의 탁월함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76
1532 생각의 정석 7회 3 오세 2013-08-08 4076
1531 설국열차를 탈출하라 - 제민포럼 4 ahmoo 2013-08-12 4429
1530 생각의 정석 8회 (충격대예언-박근혜의 운명에서 2013년 하반기 트렌드로 변경) 2 오세 2013-08-14 4906
1529 영장류 연구의 권위자 프란스 드발의 헛소리 2 오세 2013-08-15 4444
1528 뭘까요? image 17 김동렬 2013-08-16 5438
1527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25
1526 어디서 본 역겨운 글 image 2 김동렬 2013-08-19 5161
1525 아빠 어디가, 사승봉도가 무인도? image 1 김동렬 2013-08-19 6659
1524 페이스북에서 본 어이없는 글 2 오세 2013-08-21 7029
1523 생각의 정석 9회 오세 2013-08-22 3186
1522 중국은 왜 대포와 시계를 만들지 못했나? 2 김동렬 2013-08-24 6121
1521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048
1520 인류 부채한도 담 |/_ 2013-08-27 3484
1519 생각의 정석 10회 오세 2013-08-28 3996
1518 쉬운 구조론 문제 30 김동렬 2013-09-02 5102
1517 생각의 정석 11회 오세 2013-09-05 3738
1516 한 번 뒤집는 류시화, 두 번 뒤집는 구조론 7 오세 2013-09-07 4615
1515 이중구속, 엄마의 의도는? 22 김동렬 2013-09-08 9626
1514 최소작용의 원리 5 김동렬 2013-09-11 7135
1513 생각의 정석 12회 -미쿡특집- 4 오세 2013-09-12 4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