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태곰

2012.05.07 (08:23:22)

와...우........ 정말 복잡 과정을 거치는 군요. 


들어가는 목재 하나하나 사람손으로 미리 다듬고, 모양낸 다음에 조립하는 것이 참 대단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07 (09:23:54)

구조의 딜레마.

 

기둥을 먼저 세우고 인방을 끼운다음

다시 나무 망치로 때려서 기둥의 위치를 약간 옮겨야 한다는 것.

 

근데 궁궐의 거대기둥은 어케 끼우지?

망치로 때린다고 기둥이 들어가남>?

 

아래 인방을 이미 끼웠는데

이제 위의 인방을 끼워야 할 때는 어떻게 하지?

 

이미 끼운 기둥을 또 빼내남?

위의 인방을 끼우기 위해 기둥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 아래 인방이 낼름 빠지자나?

 

설령 인방을 끼운다 한들 그 들어가는 깊이가 너무 얕잖아.

이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철제 경첩과 쇠못 혹은 볼트와 너트를 쓰는 것임.

그러나 그건 서양놈들이 쓰는 야매임.

 

야매의 방법을 안 쓰고 정통적인 방법으로

구조의 딜레마를 해결하면 10조원을 벌어서 상금으로 주겠소.

 

10조원은 너끈히 벌 수 있다는 말이오.

 

###

 

구조의 딜렘마는

인방의 길이는 기둥 사이 간격보다 크다.

 

이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소.

구조재의 정보 총합은 구조재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완제품은 부품의 합보다 크다.

질은 양의 합보다 크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왜? 포지션이 들어가 있으니까.

 

인방의 끝에 난 돌기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

그 부분 때문에 구조의 딜렘마가 생겨나오.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 그 출입문보다 크다는 것.

냉장고에 코끼리를 집어넣어야 하는 문제이오.

 

이 문제를 푼 사람은 아직 없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636
1939 상대어와 절대어 1 systema 2020-05-06 1596
1938 차원으로 생각하기 image chow 2022-06-18 1598
1937 새로운 서부시대 2 수원나그네 2020-05-17 1600
1936 개구리 소년 흉기는? image 10 김동렬 2022-06-10 1600
1935 [미디어오늘] KS 오리엔트 특급으로 아시아를 누비자 수원나그네 2018-11-29 1602
1934 꿈꾸는 인류 image 2 챠우 2019-09-11 1603
1933 일본 원전오염수 관련 아사히신문의 두 기사 1 수원나그네 2019-08-20 1604
1932 가장 큰 피해자는 세입자 3 약속 2020-07-17 1605
1931 구조론으로 생각하려면 2 챠우 2019-11-14 1606
1930 동적 균형. 3 아제 2017-11-27 1607
1929 강호제현께 - 참여와 버스비 후원을 기대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8-16 1607
1928 요즘 장마철을 뚫고~ image 수원나그네 2018-07-03 1608
1927 학문에 대한 생각 4 오민규 2020-06-26 1610
1926 박인환상 공모전(7월31일까지) 1 수피아 2020-07-08 1611
1925 버림의 미학. 아제 2017-11-29 1612
1924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1 오리 2020-09-08 1618
1923 생명탈핵실크로드 9 - 국가안보의 기초 image 수원나그네 2017-10-28 1619
1922 몬티홀 문제 재소환, 믿음의 문제. 1 이금재. 2020-04-20 1619
1921 바깥으로 난 창을 열어라. 1 systema 2019-04-05 1620
1920 [미디어오늘] 한강하구, 국제기구도시를 상상한다 2 수원나그네 2018-11-24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