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954 vote 0 2014.06.30 (13:33:27)

2599923366_47574fa56e_b.jpeg


Jeff Koons의 풍선개.. 592억에 낙찰.. 이 작가 마음에 듭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06911

일전에 시사리트윗에서 김현정인가 하는 이 작가를 비판했는데

'그리기 싫으면 때려치워라! 그게 그림이냐? 만화지!' <- 이런 내용

반대로 그리고 싶어서 죽겠다는 느낌은 이런 거죠.


qiy7G79iA.jpg


이 사람은 정말 그림이 그리고 싶었던 거고


83.jpg


이 분은 아직 그림에 흥미를 못 붙였어요. 조형에 반응하는 뇌가 아닙니다.

반짝반짝 하는 칼라를 보면 뇌가 발딱 흥분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 졸리는 만화는


n.jpg  <- 근데 얼굴에 황토팩은 왜 했을까요?

뇌가 반응하는게 아니죠. 말로 때우려는 거.

조금 그려놓고 말로 때우려는 사이비들.. 물감 아끼려고 하는.. 참 한심한 자들 많죠.

'한복 입고 라면 먹으면서 명품백을 쳐다본다.'... 웃기고 있네. 초딩이냐? 개수작.. 패죽여야 합니다. 


아마 자본주의 어쩌구 신자유주의 어쩌구 이딴 소리 하려는 모양인데 

그러시면 칼럼을 쓰시든가, 단편소설을 쓰시든가.. 말로 때우려면 문학 쪽으로 알아보는게 맞죠.

여러 얘기 할 필요없소. 뇌가 반응하느냐가 중요합니다.

거기서 진짜와 가짜가 가려지는 거죠.


qx.jpg

이런건 사이비.. 꼴에 낙관은 찍어놨네. 뇌가 반응안함. 그림 아님. 만화임. 카툰.


4koons.jpg

뇌가 반응함. 진짜임. 조잡해도 진짜인게 있고 심오해도 가짜인게 있소.


얼마전에 프랑스 바깔로레아 그거 통째로 지적 사기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프랑스철학 공부하면 바보가 됩니다.


'한복입고 라면 먹으면서 명품백을 쳐다본다.'. 이런 똘짓을 하게 되는 겁니다.

왜 멀쩡한 양반이 바보가 되었을까요? 

정답.. 프랑스놈들 일 안 하고 말로 때우는 거 보고 영향받은 거.


미국놈들은 말로 안 때우죠. 

이 양반들은 진짜배기로 뇌가 칼라에 반응합니다.

조형의 형태에 집착증이 있다는 거죠.


6745_b.jpg

형태에 대한 집착증이 보이죠?


dited.jpg

여자는 그냥 배경이고 풍선의 긴 형태와 구의 둥근 형태에 강박증을 가지는게 핵심입니다.

결국 예술이란 간단히 칼라와 형태와 질감에 대한 강박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건 진짜배기죠. 


한줄통찰 - 강박증을 만들어내면 돈을 법니다.


잡스의 강박증을 이해하면 됩니다. 강박증 아니면 예술 아닙니다. 접수했소?

강박증 걸린 자가 강박증 퍼뜨리는게 예술.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 |/_담 |/_

2014.06.30 (16:45:20)

끝장을 봐 줘야 예술 활동.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6.30 (22:33:41)

http://www.sculturein.com/news/1225


검색해보니 이 양반도 비슷한 계열로 쳐주는 모양인데 이 왜는 아직 멀었음.

강박증까지 안 가고 중박증.. 이건 그냥 오타쿠 수준.


평면에서 입체로, 입체에서 질로 도약하지 못했소.

동적균형에 도달하려면 한 번 더 뇌를 점프시켜야 합니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16239&no=34&weekday=tue


마인드 C 이 양반은 약간 강박증 환자의 냄새가.. 화가로 갔어도 대성할 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194
1879 이어져야 끝난다 1 이금재. 2021-10-11 2970
1878 착한 사람 되려다가 만만한 사람되고 2 이상우 2021-10-08 3502
1877 진화와 복제의 원리 1 이금재. 2021-10-08 2729
1876 중립국의 조건 2 이금재. 2021-10-08 2847
1875 < '소설'이라 이름 붙이고 직감이라고 읽어야 하리> 3 아란도 2021-10-07 2661
1874 버스 노선의 운명 레인3 2021-10-06 2424
1873 같은 상황 다른 결말 이금재. 2021-10-05 2478
1872 오징어게임과 주식시장 - 고수가 이긴다 2 레인3 2021-10-04 2630
1871 예술은 쉽다 1 이금재. 2021-09-30 2974
1870 설국열차와 오징어게임 다음 2021-09-30 2724
1869 오징어게임은 21세기 한미일 문학의 총결산 2 이금재. 2021-09-28 3232
1868 메타 투자 다음 2021-09-28 2737
1867 사건을 이해해야 전략을 이해한다. systema 2021-09-26 2680
1866 표절의 기준 - 오징어게임 이금재. 2021-09-26 2751
1865 부동산은 대끼리일까 레인3 2021-09-24 2753
1864 아인슈타인의 시계 이금재. 2021-09-24 2415
1863 왜 공격이 불리한가? 이금재. 2021-09-23 2528
1862 개인에게만 책임 물어서는 아동학대 문제해결 안된다. 1 이상우 2021-09-22 2209
1861 질문이 틀렸어 - 광속 4 이금재. 2021-09-22 2580
1860 안드로이드용 구조론 앱을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image 5 오리 2021-09-18 2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