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5810 vote 0 2023.03.18 (11:27:20)




https://youtu.be/eNmzWRwJ-SI


우연히 유튜브에 떠서 봤는데 재밌네요.

구조론적 관점으로 보면 더 재밌을거 같습니다. 


  •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DNA를 변화시킨다 vs 아니다.
  • 어떤 사람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1만년 후에 쌍둥이로 복제가 가능하다 vs 안된다.
  • 유기체의 사회적 선택
  • 코로나 면역반응이 후세에 전달되는 메카니즘
  • 라마르크가 돌아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3.03.18 (19:44:25)

내용이 길어서 안 봤는데 

구조론을 배우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습니다.

이건 제가 자연선택을 비판하려고 옛날부터 주장한 거. 

그런데 구조론으로 보면 유전자는 입자입니다.

노블 교수의 유기체가 정확히 뭘 뜻하는지 모르겠는데 아마 유기농 장사를 하려는듯.

유기체는 의미가 모호하므로 

유전자가 입자인데 비해 구조론의 질 포지션을 커버하고 싶은 것으로 추측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말하는 원인은 입자입니다.

핀셋으로 찝을 수 있는 입자는 유전자입니다.

유기체라는 말은 체가 붙었으니까 입자에 해당되는데

후성유전 어쩌고 하는거 보니

입자가 아니라 질 곧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의미하고 싶은듯


결론.. 진화는 일단 유전자가 하는게 맞다.

유전자는 입자이므로 그 이전의 질 개념을 말하고 싶으면 

상호작용으로 말해야지 입자를 찍으면 안 된다.

입자를 찍어서 말하며 질 개념을 반영하면 그게 한의학의 기 비슷하게 된다.

포스의 힘으로 진화했다고 말하면 피곤하다.


구조론은 유전자 안에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고 봅니다.

맞는 생태적 지위를 찾아낼때까지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다윈생각.. 우연히 변이 중에 하나가 살아남는다.

구조생각.. 특정한 방향으로 변이가 일어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264
1839 길이 보이지 않을 때는 3 김동렬 2011-02-11 4648
1838 요지경속에 진짜 1 지여 2011-02-12 3642
1837 님(의 침묵)과 (구조의) 신 지여 2011-02-14 4491
1836 마루치 아라치의 기원 2 김동렬 2011-02-14 8807
1835 제품의 가치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1-02-15 4155
1834 앗 뜨거. 6 아제 2011-02-15 4574
1833 마음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방향은 어느 곳이 먼저일까? 3 아란도 2011-02-15 3834
1832 슬로우. 2 아제 2011-02-16 3821
1831 뜬다. 1 ░담 2011-02-16 3589
1830 [일 이야기] 착취하라. 5 ░담 2011-02-19 5712
1829 before sunset vs before sunrise 4 눈내리는 마을 2011-02-19 4087
1828 연애와 결혼 13 양을 쫓는 모험 2011-02-20 5569
1827 최상급의 칭찬은 인간의 존엄에 대한 모독이다(마음의 구조 리뷰) 5 오세 2011-02-21 6312
1826 조선8도 지역정서 지여 2011-02-26 7860
1825 호부견자의 심리적 메커니즘 2 오세 2011-02-27 5491
1824 바깔로레아 5 양을 쫓는 모험 2011-02-27 4449
1823 창의적 사고의 단계들 lpet 2011-02-27 20195
1822 가스실 밖으로 나와야 한다. 3 오세 2011-03-01 3961
1821 [일 내는 이야기] 있다 이야기. ░담 2011-03-02 4495
1820 게임에 모든 것을 건 사람 1 기준님하 2011-03-02 4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