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다원이
read 1731 vote 1 2018.08.21 (00:53:37)

선문답 - 질문에 답하려 하면 실패. 물었으니 답해야 한다는 이 프레임에 빠지면 즉시 패배. 묻는다는것 그 자체를 복제하는게 갈 길이다.
선승이 물을 때는 답을 바라는 게 아니라, (너같은 초짜에게 답을 바라지도 않는다 마는) 너도 나처럼 깨달은 경지에서 물음을 던지는 입장이 되어야 한다. 라고 외치는 것. 그걸 모르고 질문에 대한 정답을 맞추려 하는 순간, (스승이 이미 예견한 대로) 당신은 이미 졌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8.21 (09:11:18)

거대한 산을 작은 플라스틱 모형에 잡아가두면 곤란합니다.

물음에 답하려는 무의식을 보라는 관점은 하나의 단서에 불과합니다. 

그게 작은 힌트 하나는 되겠지요.


복제는 깨달음이 아니라 모방이고 표절입니다.

복제를 할 수 있는 복제의 자궁을 건설해야 깨달음입니다.


셰익스피어 소설을 읽고 그것을 복제하여 적과 흑을 쓰면 깨달음이지만

셰익스피어 햄릿을 읽고 햄릿 2부나 속편을 쓰면 그냥 표절입니다.


산이 '야 나는 얼마나 높냐?' 하고 물으면 

에베레스트 형님은 높이가 8848미터인데요? <- 이렇게 받으면 오백방을 맞아야 합니다.


질문에 답을 했으니까 질문의 관점을 획득하지 못한 거지요.

바다가 '야 나는 얼마나 깊냐?' 하고 받아야 좀 아는 거지요.


산과 바다는 대칭을 이루어 호응이 됩니다.

질문에 답하지 않고 대칭을 이루어 호응시키는 방법으로 완성해야 합니다.


그런게 없이 그냥 따라하는건 호응이 아니지요.

시인이 댓구를 쳐도 운을 띄우면 라임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림의 반을 그리면 나머지 반을 채워서 완성시키는 것이 호응입니다.

그냥 똑같이 따라하는건 어린이 행동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8.21 (15:15:09)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712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05 1727
4711 동렬님 글 읽다가 이런 생각 1 아란도 2019-01-23 1727
4710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26 1728
4709 유튜브가 세상을 지배합니다^^ 까뮈 2017-11-27 1728
4708 연탄재..그리고.. 아제 2017-11-29 1728
4707 와일드 플라워 락에이지 2018-04-28 1728
4706 금본위제가 아닌 부동산 본위제 유가 증권 혁명 제안. 3 노매드 2018-09-17 1728
4705 구조론 목요 열린 방송 image ahmoo 2016-09-29 1729
4704 화폐 시스템의 발전과 세력전략 3 현강 2017-12-25 1729
4703 제주 강정마을 평화활동가 탄원서 서명 부탁드립니다 수피아 2020-03-29 1731
» 선문답은 복제다 - 작은 깨달음 2 다원이 2018-08-21 1731
4701 블록체인 위에 올려진 백과사전, 에브리피디아 mowl 2018-11-05 1732
4700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image 3 오리 2020-01-09 1732
4699 새해맞이 홍어 도전 벙개 image 3 수피아 2019-01-27 1734
4698 입국제한-금지국가들 수출입제한 1 펄잼 2020-03-03 1735
4697 122회 4.16 Boston Marathon 대회 참가 4 wisemo 2018-04-17 1736
4696 개발도상국의 환율게임 현강 2019-07-29 1736
4695 부암동출범.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3-16 1739
4694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8-22 1740
4693 당대표 이해찬 !! 1 다원이 2018-08-25 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