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4370 vote 0 2022.08.31 (08:48:25)

일본 주식 니케이 지수를 볼만하다.


https://cpb-us-e1.wpmucdn.com/blogs.uoregon.edu/dist/2/11416/files/2012/12/saupload_N225-bubble-since-1984.png


1997년의 한국 IMF에 폭락이 나타나고, 그전에는 1989년의 미-일의 플라자합의에서 큰폭의 하락을 보여주고 있다. 흥미롭게, 현재 2022년 니케이지수는 상승장.


한국의 유튜브채널에는 부동산 하락장에 대한 포효가 뜨겁다. 그동안의 상승장에 대한 화풀이와 공정과 정의에 대한 분노가 절실히 남겨져 있다. 하물며, 대기업 맞벌이 부부에 강남에 아파트 있으면 인생 승리라는 말이 회자된단 말인가. 교수도 고급공무원(?)도 서울권 검판사도 끼워주지않는 강남불패 아파트. 그 하락에 대해서 다들 승리를 자축한다. 


하지만, 부동산은 자산가치이고, 부동산과 채권 주식 채무가 상호 교차로 엮여있고, 서로 이익을 취하면서 서로의 손해를 메꾸고, 거기다 보험까지 엮여서 손실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경제는 흘러간다. 부동산이 망한다는건, 위의 표에서 나오듯, 1989년에 일본이 그랬듯이 장기적인 경제 불황을 의미한다. 한국사회는 그에대한 준비가 되어있는가.


분노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장에 대한 조절'에 대한 이야기이다. 1997년도엔 김영삼말기이고, 한국사회가 계급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시기이고, 한-일간의 불화가 급작스런 환율-금융을 조작한 면이 있고, 기업들도 뇌물-여자 돌려가면서 서류조작하던 시기이고, 그만큼 불안정성이 컸던 시기였단 이야기, 하지만 지금은 2022년. 


부동산 급락이 금리 상승으로 분명하다면, 어떻게 연착륙을 가져갈지. 좀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10-20의 사회진입, 산업다변화. 40-50의 연봉조정과 새직종 진입. 그러면서도 전통제조업 (자동차, 반도체)를 가져가면서 (중국에 뺏기지 않으면서), 수소경제같은 기후변화 관련분야를 치고나갈지. 그와동시에, 주거문화 변화를 어떻게 부동산 급락과 연동시킬지.


등의 일련의 사항들이, 강남부동산에 대한 분노의 질주보다 영양가 있다는것.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559
2017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69
2016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464
2015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460
201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51
2013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429
2012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97
2011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82
2010 척력. 2 아제 2010-07-14 7380
2009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72
200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54
2007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344
2006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342
2005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335
2004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334
2003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311
2002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289
2001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89
2000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73
1999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260
1998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