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1812 vote 0 2020.10.21 (16:05:18)

https://youtu.be/OG3XkRIBbCI

"유클리드 > 비유클리드"가 베이스를 평면이나 곡면이냐로 구분하는 것이었다면,
"뉴턴 > 아인슈타인"도 베이스를 다루기 때문에 아인슈타인이 시공간이 휘었다는 표현을 한 거였군요.

재밌는 지점은 "곡률"이라는 표현인데, 왜냐하면 어떤 비율이라면 "무엇이다"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인슈타인이 시공간 혹은 빛의 속도라고 얼버무린 거시기는 무려 비율을 가진 가상의 전제가 되는 것입니다.


영상 중간에 미적분이 나오는데, 미적분이 나오는 이유는 수학에서 미분이 하방추론으로, 적분이 상방추론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미적분의 연산 자체는 대수학적인데, 그 연산의 베이스는 당연히 기하학입니다. 


참고로 미분은 나눗셈의 일반화 연산으로, 적분은 곱셈의 일반화 연산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나눗셈과 곱셈은 대수학적으로 정의된 것으로 차원을 전제하지 않으나 미적분은 기본이 기하학이므로 차원을 전제하여 계산하되, 다만 그 결과는 대수학적으로 표현됩니다. 


일각에서 미분을 나눗셈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고도 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말입니다. 미분은 나눗셈이 아니나 나눗셈은 미분에 속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나눗셈은 미분의 특수한 형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미적분에서 곱셈을 하는데 뜬금없이 덧셈이 보이는 이유는 행렬곱을 할 때 뜬금없이 덧셈이 튀어나오는 이유와 정확히 같습니다. 차원간 연산을 할 때 곱셈은 차원간연산으로 덧셈은 차원내연산을 표현하는데, 차원을 이동할 때는 둘 다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기하학은 행렬을 다루고, 행렬은 곧 텐서로 확장되므로 상대성이론에서 텐서를 사용했다는게 대강 연결이 되죠. 좀 더 나가면 양자역학이 행렬을 주로 다루고 퀀텀 점프를 다루는데, 퀀텀점프는 계를 다루는 표현이고.. 하는 식으로 가다보면 언젠가는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873
1797 성장통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4-28 5567
1796 자발적 노예 17 김동렬 2014-02-17 5566
1795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5564
1794 개가 응가할때 사람을 쳐다보는 이유 2 김동렬 2015-12-07 5560
1793 자이로볼의 원리 image chowchow 2022-01-13 5558
1792 시비붙기 좋은 날. 3 아제 2010-12-12 5555
1791 문화발전의 5단계 1 르페 2009-01-11 5554
1790 가슴하나에 시크릿 하나씩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11-06 5552
1789 한국사회 구조조정 1 눈내리는 마을 2009-03-24 5548
1788 대니얼 카너먼의 돌 1 chow 2023-06-03 5546
1787 질문 - 너무 쉽소. 6 김동렬 2013-01-09 5545
1786 시조새는 새가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1-07-28 5538
1785 중국과 한국의 차이 image 김동렬 2015-04-30 5533
1784 국토학교를 소개합니다 수원나그네 2023-06-03 5531
1783 질문 - 책상은 다리가 몇이오? image 12 김동렬 2013-01-23 5526
1782 연애와 결혼 13 양을 쫓는 모험 2011-02-20 5519
1781 특권의 문제 image 김동렬 2015-06-04 5513
1780 숨은 전제 훈련하기 image 9 김동렬 2016-02-23 5511
1779 구조론은 수학이다. 1 아제 2010-06-10 5494
1778 스티브 잡스와 <나는 꼼수다>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16 5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