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814 vote 0 2010.07.13 (21:02:34)

  과학의 패러다임은 예측과 재현을 통한 시스템의 확장성에 기반을 둔다. 어떤 사람의 아이디어가 다른 사람에 의해 재현될 때 학문적인 정당성을 획득하는 것이며, 이를 다시 제 3의 사례에 적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을 때 그러한 확장성에 의해 학문적 체계 안에서의 위상을 획득한다.

 

  중요한건 재현이다. 재현은 일정한 예측모형을 바탕으로 한다. 과학가의 이론은 과거의 경험을 수집하여 열거하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의 단선적 나열이 아니라 시스템의 확장성을 갖추고 미래의 요구에 대비하는 진화형 이론모형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편성 있는 입체적 이론모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단선적 나열 -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

  ◎ 입체적 모형 - 기압의 배치가 날씨를 결정한다.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과학의 방법론은 아니다. 단순히 경험적 사실을 열거하거나 수집하여 전시하는 방법은 타 분야에 응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진리의 보편성이 없는 단발성의 부스러기 지식에 불과하다.

 

  기압의 배치는 도시의 트래픽과 같고 컴퓨터 서버의 트래픽과도 같다. 기압의 배치에 의거한 기상예측 모형은 도시의 교통 트래픽 예보 혹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기술로 응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진화형 이론모형이라 하겠다.

  구조론은 타 분야에 얼마든지 응용가능하다는 점에서 보편성 있는 입체적 예측모형이다. 사유의 변화로부터 기술의 변화를 끌어내는 진화형 이론모형으로서 21세기의 시대적 변화에 걸맞는 과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발하고 있다.

 

 

http://gujoron.com




[레벨:15]오세

2010.07.15 (13:25:46)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도 입체적 모형이 필요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33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3
2140 덧붙여 설명함 image 9 김동렬 2010-08-09 11519
2139 미에 대한 관점 4 김동렬 2010-08-08 15440
2138 진선미에 대해서 2 김동렬 2010-08-05 18185
2137 선암마을의 지형 image 2 김동렬 2010-07-30 16359
2136 베르누이 효과 image 4 김동렬 2010-07-28 20406
2135 진보의 구조 image 4 김동렬 2010-07-22 13686
2134 추가할 내용 image 김동렬 2010-07-18 18448
2133 4차원의 이해 image 2 김동렬 2010-07-15 17508
2132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김동렬 2010-07-15 16733
» 진화형 이론모형 1 김동렬 2010-07-13 16814
2130 구조의 만남 image 김동렬 2010-07-12 18304
2129 동영상형 이론모형 2 김동렬 2010-07-06 15091
2128 블랙스완 2 김동렬 2010-07-05 15379
2127 그림설명 image 김동렬 2010-07-03 18110
2126 차리는 말 image 김동렬 2010-06-30 17155
2125 구조론 도해 image 김동렬 2010-06-22 22092
2124 예측툴 3 김동렬 2010-06-15 14823
2123 월드컵 심리 그리고 3 김동렬 2010-06-14 15917
2122 각주구검의 오류 image 3 김동렬 2010-06-10 18880
2121 구조의 일방향성 image 5 김동렬 2010-06-08 15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