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76 vote 0 2024.06.04 (13:51:12)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데카르트의 유명한 코기토 논증이다. 안타깝게도 이 말의 의미를 아는 사람이 인류 중에 없다. 무언가를 느낀 사람은 있다. 그것은 직관이다. 직관과 논리 사이에 연결고리가 빠져 있다. 어색하다. 뇌가 가렵다. 사유가 격발된다.


    왜 이 말이 유명해졌을까? 내가 느낀 것을 당신도 느꼈기 때문이다. 과학은 의심에서 시작된다고 한다. 틀렸다. 과학은 직관의 산물이다. 무언가를 느낀 사람이 그것이 무엇인지 자기 자신에게 질문하는 것이 의심이다. 의심은 추론인데 직관이 추론에 앞선다.


    의심은 거짓을 찾는다. 직관은 참을 찾는다. 무언가를 느꼈으면 그것을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 표현법을 찾는 것이다. 그런데 찾지 못한다. 생각하는 것은 주체다. 의심되는 것은 객체다. 존재는 객체다. 객체는 나와 분리된다. 주체와 단절되어 맞은편에 있다.


    생각하는 내가 주체이면 존재하는 나는 객체다. 내가 생각할 때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주체 속의 객체다. 객체는 나의 밖에 있지만 몸뚱이 밖이 아니라 자아의 밖이다. 생각하는 존재는 자아 안에 있다. 내 속에 내가 있다. 주체 나 속에서 객체 내가 복제된다.


    뒤따르는 것은 선행하는 것을 의심할 수 없다. 진술은 전제를 의심할 수 없다. 아기는 엄마를 의심할 수 없다. 엄마는 자궁 속의 아기를 의심할 수 없다. 활 속의 화살을 의심할 수 없다. 총 속의 총알은 의심할 수 없다. 증명한다는 것은 곧 복제한다는 것이다.


    지식의 출발점은 복제다. 우주는 복제된 존재이므로 우리는 추론하여 진리를 파악할 수 있다. 코기토 논증은 하나의 액션이 주체와 객체로 복제될 때 증명된다는 것이다. 엄마의 출산에 의해 복제된 아기의 존재는 증명된다. 이러한 본질을 아는 사람은 없었다.


    ###

    액션이 먼저다. 주체가 먼저고 객체는 그다음이다. 여기에 층위가 있다. 차원이 있다. 매개가 있다. 메타가 있다. 선행하는 것이 있다. 주체와 객체를 연결하는 에너지가 있다. 실존이 먼저고 존재는 그다음이다. 생각하는 것은 실존이고 존재는 관측된 것이다.


    주체 - 주는 사람, 원형, 결정, 능동, 전략, 유체, 권력, 문제, 민주, 사건, 동動, 에너지, 마이너스


    객체 - 받는 사람, 원자, 전달, 수동, 전술, 강체, 신분, 답안, 독재, 사물, 정靜, 물질, 플러스


    객체 중심적 사고를 버리고 주체 중심적 사고로 갈아타야 한다. 에너지가 있는 쪽이 주체다. 주지 않으면 받을 수 없다. 주는 사람이 결정하고 받는 사람은 전달만 한다. 원형은 액션을 취하고 원자는 관측된다. 에너지를 태운 원형론적 사고로 갈아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2024.06.04 (14:38:51)

내가 그것을 생각한다는 것을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143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31619
6897 동력 운명 게임 김동렬 2024-04-16 1572
6896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1578
6895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1579
6894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1589
6893 생각의 압박 김동렬 2024-04-08 1591
6892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1591
6891 셈과 구조 김동렬 2024-03-01 1595
6890 진리의 문 김동렬 2024-04-29 1601
6889 직관의 기술 김동렬 2024-04-06 1606
6888 금쪽이 전성시대 김동렬 2024-06-27 1607
6887 엔트로피가 어렵다고? 김동렬 2024-03-15 1614
6886 인류문명 김동렬 2024-03-22 1617
6885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1617
6884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위험성 image 김동렬 2024-05-26 1618
6883 집단사고와 집단지성 1 김동렬 2024-04-22 1619
6882 허웅 박철 강형욱 손웅정 윤석열의 경우 김동렬 2024-07-05 1625
6881 생각기술 김동렬 2024-04-03 1626
6880 밸런스와 엔트로피 김동렬 2024-03-20 1627
6879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1627
6878 엔트로피와 직관력 김동렬 2024-03-18 1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