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7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심상정이 좋아하는 결선투표제는
프랑스대선에서 종종 나온다.
이번에도 마크롱 23.8%, 르펜 21.58%로
1, 2위가 되었다.
전체 국민의 1/4의 지지밖에 받지 않았고
또 둘의 차이도 1.7%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프랑스는 결선투표가 필요하다.
1,2위가 워낙 득표율이 낮으므로........
그러나 한국은 45%이하 당선된 대통령이 있던가?
(노태우가 36.6%당선)
그리고 유권자들도 선거막판에서는 될 사람을 밀어주는 경향이 있으므로
심상정이 요구하는 결선투표제는 좀 생각을 해야 봐야 한다.
확실히 2000년대 이후에는 유권자스스로 단일화하고 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357point (22%),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하다하다 안되니 조중동에서 심상정이라도 띄워서 문재인표 빼앗으려고 하는군요.
오래 살고 봐야 합니다. 조중동에서 심상정을 밀어줄 정도니.
문재인 떨어뜨리기 위해서는 뭐든지 할 태세.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15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결선투표제도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항상 약체대통령이 나와서 의사결정 못하는 난맥상이 연출될 겁니다.
문제는 보수는 그런 것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거죠.
보수는 어차피 내일이 없는 자들이라
편법이든 무리수든 막 저질러서 해결하는데
진보는 온갖 못된 넘들이 지분챙기기 해서 세 걸음도 못 가고 자빠집니다.
결선투표제가 보수에게 유리하다는 거죠.
뒷감당 생각 안 하고 막 퍼질러버리는 이명박근혜가 편하다는 거죠.
졸개 - 대운해 해서 망하면 어쩌죠? 명박 - 상관없어 사대강으로 틀면 돼.
언제나 아무 생각 없는 쓰레기들이 유리한 구조가 정치.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74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심상정은 결선투표제와 이원집정부제를 주장하는데
생각해 봐야 합니다.
심상정이나 유시민이 말하길 소수정당을 위하여
결선투표제가 필요하다는 투로 지난번 썰전에서 얘끼하던데.
그게 사실은 국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심상정 본인을 위한 것이죠.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951point (63%), 레벨:4/30 [레벨: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4.gif)
저 곡을 들고 독일가서 공연할 수 있으면 인정해줄수 있을듯요..ㅋㅋ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17/251/251917.gif)
![포인트:12417point (73%),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이건 100% 표절 이네요. 번안곡.
https://www.youtube.com/watch?v=vGw9EUqC0nk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32/674/674032.jpg)
![포인트:34713point (63%), 레벨:19/30 [레벨:19]](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9.gif)
![id : 배태현 id: 배태현](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032/674/674032.gif)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82/112/112082.jpg)
![포인트:2911point (66%), 레벨:5/30 [레벨: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5.gif)
![id : 땡건 id: 땡건](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082/112/112082.gif)
역시 원곡이 좋네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근데 표절시비 얘기가 나온 시기가 좀 그러네요. 2004년도에 나온노래고 뒤늦게 히트한곡인데
전인권의 안철수지지얘기가 나오자마자 표절얘기가 수면위로 올라온게 좀 그렇습니다.
그냥 씁쓸합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18/006/6118.jpg)
![포인트:73315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id : 김동렬 id: 김동렬](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image_mark/118/006/6118.gif)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017/302/302017.jpg)
![포인트:13283point (14%),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그러니까요.. 기사를 봐도 몇년전부터 얘기는 있었지만(특히 드라마 응팔때부터) 원곡자의 문제제기가 있었던것도 아니고 그냥 유사성에 대한 말들이 있었던건데 이번에 다시(안철수 지지 얘기나온 이후) 수면위로 올라와 크게 이슈가 되는게 좀 그렇다는 거지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3783point (46%), 레벨:6/30 [레벨: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6.gif)
자기 수준에 맞는 사람을 지지한다더니 ... 노빠가 어찌 안철수를 지지할까 의아했는데 궁금증 해결.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787/005/5787.jpg)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여기에 왠 노빠죠?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684point (72%),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동성애자들한테 막말한건 잘못입니다
합법화 반대도 동성혼 합법화 반대인데 말을잘못했으면 사과해야죠
그리고 동성혼 반대도 이해할수없습니다 남들이 한다면 좀 놔두지
굳이 불법이라고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찰스 지지자는 귀찮아서 투표장에 안갈듯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733point (82%),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홍준표와 안철수가 비슷한 투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지만, 아직은 그렇게 판단하기는 어렵고 한 주 정도 추이를 지켜본다면 뭔가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 같군요.
안철수가 원래 지지율로 회귀할 가능성도 있지만, 홍준표를 놔두고 안철수를 민 사람은 보수층도 있지만 상당수는 중도층이나 중도성향의 보수층이었기 때문에 과연 중도층의 표심이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요?
아직 홍준표에게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으니까 홍준표에게도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요.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634/482/482634.jpg)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재미있는 내기를 할까요?
홍2등 안3등에 10원 걸겠소~^^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357point (22%),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예전 안철수 치고 올라가기 전 예상하신 6:2:1의 수치가 실현될 수 도 있겠네요.
문재인 50%, 안철수 2등전략쓰면 무난한 20%로 차기도모 가능, 홍준표 10%
역시 자기 지지자가 아닌 남 지지로 얻은 표는 빠르게 치고 올라간 만큼, 빠르게 빠지는군요.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733point (82%),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민주당 경선이 종결된 뒤에 안철수가 얻은 표의 성격을 어떻게 볼 것이냐가 중요할 겁니다. 안희정을 지지하는 표 중에서는 분명 보수표로서 문재인을 견재하기는 하되 자유한국당으로는 갈 수 없는 표도 상당 부분 있을 것입니다. 한편 이재명을 지지하는 표 중에서도 진보적인 성향이면서도 문재인을 지지하기 싫어서 안철수로 간 표가 상당할 겁니다.
최근 안철수의 갈짓자 행보에 따라 보수표는 홍준표로 옮겨갔지만 오히려 중도표와 진보 중 비문재인 표가 일부는 문재인이나 심상정으로 옮겨갔고, 그 외에 상당한 수가 여론조사 무응답층이나 "모름-지지후보 없음"으로 들어간 것이 아닌가 해요.
무응답층이 제가 볼 때에는 5% 이상은 되는 것 같습니다. 이 표는 막판에 누군가에게는 가겠지만 일주일 동안은 관망세를 취하려는 표인 것 같아요. 최근 부동층이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니 그렇습니다.
그래서 안철수가 어느 정도의 표를 얻을 것인지를 판단하려면 여론조사공표금지기간이 시작되기 전까지 1주일 정도는 기다려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