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다원이
read 1703 vote 1 2018.08.21 (00:53:37)

선문답 - 질문에 답하려 하면 실패. 물었으니 답해야 한다는 이 프레임에 빠지면 즉시 패배. 묻는다는것 그 자체를 복제하는게 갈 길이다.
선승이 물을 때는 답을 바라는 게 아니라, (너같은 초짜에게 답을 바라지도 않는다 마는) 너도 나처럼 깨달은 경지에서 물음을 던지는 입장이 되어야 한다. 라고 외치는 것. 그걸 모르고 질문에 대한 정답을 맞추려 하는 순간, (스승이 이미 예견한 대로) 당신은 이미 졌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8.21 (09:11:18)

거대한 산을 작은 플라스틱 모형에 잡아가두면 곤란합니다.

물음에 답하려는 무의식을 보라는 관점은 하나의 단서에 불과합니다. 

그게 작은 힌트 하나는 되겠지요.


복제는 깨달음이 아니라 모방이고 표절입니다.

복제를 할 수 있는 복제의 자궁을 건설해야 깨달음입니다.


셰익스피어 소설을 읽고 그것을 복제하여 적과 흑을 쓰면 깨달음이지만

셰익스피어 햄릿을 읽고 햄릿 2부나 속편을 쓰면 그냥 표절입니다.


산이 '야 나는 얼마나 높냐?' 하고 물으면 

에베레스트 형님은 높이가 8848미터인데요? <- 이렇게 받으면 오백방을 맞아야 합니다.


질문에 답을 했으니까 질문의 관점을 획득하지 못한 거지요.

바다가 '야 나는 얼마나 깊냐?' 하고 받아야 좀 아는 거지요.


산과 바다는 대칭을 이루어 호응이 됩니다.

질문에 답하지 않고 대칭을 이루어 호응시키는 방법으로 완성해야 합니다.


그런게 없이 그냥 따라하는건 호응이 아니지요.

시인이 댓구를 쳐도 운을 띄우면 라임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림의 반을 그리면 나머지 반을 채워서 완성시키는 것이 호응입니다.

그냥 똑같이 따라하는건 어린이 행동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8.21 (15:15:09)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672 미디어법 강행하면 5 오리 2009-07-21 5881
4671 인문고전 독서법 리뷰 - 리딩으로 리드하라 image 2 아란도 2011-01-03 5878
4670 힘있는 글쓰기와 글나눔에 항상 감사... 1 맑음과 향기 2007-05-29 5856
4669 나도 뱀직구 image 냥모 2013-09-21 5853
4668 [천안함 침몰] 사고원인의 연역적 접근 image 16 양을 쫓는 모험 2010-04-25 5851
4667 동북아 지질지도 image 1 수원나그네 2014-10-20 5849
4666 반갑습니다. 패칸 2006-05-26 5835
4665 김지하, 진중권, 변희재 14 노매드 2013-01-11 5832
4664 푸리에 급수 image 11 오리 2019-08-04 5815
4663 인간이 추구해야할 것이 완전성인가요? 56 골목대장 2016-01-14 5804
4662 한국은 돈이 최고다. 그걸 국민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세상이다. 4 당당 2013-07-27 5804
4661 글을 다른곳으로 가져가도 되는지 여쭙습니다.() 2 아란도 2008-01-08 5802
4660 안녕하세요 2 나그네 2007-02-19 5798
4659 끝까지 지켜 봅시다. 2 노매드 2012-12-19 5788
4658 2족 보행 카르마 2012-01-19 5785
4657 내가 사는 이유 ..신청했어요 1 화랑 2007-05-29 5785
4656 [산복도로] 1 달빛산행 2006-01-12 5780
4655 천재 구조론 image 5 꼬레아 2011-10-19 5776
4654 soul number 2 아란도 2014-08-04 5775
4653 자신의 몸 속에 나무가 자라지 않나 조사해보시오. image 4 ahmoo 2009-04-15 5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