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90 vote 0 2016.03.08 (14:47:07)

       

    반응할줄 아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반응하라고 하면 홀려버리는게 보통이다. 높은 층위에서의 부르는 목소리에 반응하지 않으므로, 작은 것에 지나치게 잘 반응한다. 음식의 맛에 반응하는건 좋지만, 맛에 집착하면 향을 모른다. 향에 집착하면 분위기를 모른다. 분위기에 집착하면 소통을 모른다. 그러므로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나지 못한다. 유쾌한 긴장 안에서 호흡하지 못한다. 상대방에게 홀리지 말고 내가 상대방을 홀릴 때 통한다. 그래야 만난다. [생각의 정석 69회]


    호응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낮은 단계에 반응할 뿐 높은 단계에 호응하지 못한다. 역할을 나누고, 칸을 나누고, 담장을 쌓고, 격리하는 방법으로 구조 안에서 잘 반응할 뿐 그 역할과 구조를 넘어서지는 못한다. 내 안에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다. 유혹할 수 있어야 한다. 유혹에 잘 넘어가는 방법으로 유혹할 수 있다. 높은 단위의 유혹에 넘어가는 방법으로, 낮은 단위의 상대를 유혹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진리로 유혹하고, 천하로 유혹해야 한다. 그것이 호응이다. 반응은 안에서 응답하고 호응은 밖에서 응답한다. 반응에 그치지 말고 호응으로 올라서야 한다.



aDSC01523.JPG


[레벨:30]솔숲길

2016.03.08 (17:05:02)

[생각의 정석 69회] 조선은 왜 망했는가?

http://gujoron.com/xe/57406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15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090
4094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174
4093 언어는 맥락이 필요하다 1 김동렬 2019-12-18 5179
4092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 김동렬 2015-12-27 5185
4091 본질주의와 도구주의 1 김동렬 2020-08-27 5188
4090 구조는 이중구조다 image 김동렬 2015-10-26 5190
4089 공자 21, 나면서 아는 것이다 image 김동렬 2016-02-25 5190
4088 사랑 68, 사는 방향으로 가라 image 1 김동렬 2016-03-07 5190
» 사랑 69, 반응에서 호응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08 5190
4086 사랑 70, 깨달음은 감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9 5193
4085 믿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0-27 5193
4084 사랑의 정석 62, 소들의 평상심 image 1 김동렬 2016-02-26 5195
4083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197
4082 호기심테스트 김동렬 2003-06-21 5201
4081 창조냐 구조냐? image 1 김동렬 2015-04-12 5202
4080 사랑 123, 화수분 인생 1 김동렬 2016-07-18 5202
4079 사랑 86, 역사자랑은 수치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5206
4078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9-19 5207
4077 연역의 재현과 귀납의 관측 1 김동렬 2020-03-10 5207
4076 사랑 77, 인류의 프로젝트 image 2 김동렬 2016-03-18 5208
4075 사랑 100, 팀은 복제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5 5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