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06 vote 0 2015.09.19 (21:13:44)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세상은 단위의 집합으로 되어 있다. 이 점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숫자 1, 2, 3..처럼 혹은 물체 한 개, 두 개처럼 낱개로 된 것이 단위다. 단위는 인간이 가리켜 지시할 수 있는 대상이다. 그 가리켜 지시하는 것은 언어다. 언어는 단어로 되어 있다. 아니 문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잠깐! 뭔가 이상하다.


    명사는 하나 둘로 구분이 가능하나 동사는 헷갈린다. ‘사랑’은 하나 둘로 구분하여 셀 수 없다. 아니 셀 수도 있다. ‘나 오늘 열 번 사랑했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명사 ‘사랑’은 어쩌면 셀 수 있을듯 한데 동사 ‘사랑하다’는 셀 수 없다. 문법적 의미에서 동사의 범주에 포함되는 형용사도 셀 수가 없다.


    언어가 그렇다면 사물도 그러하다. 대칭되어 있다. 사실 많은 것이 셀 수 없는 것이다. 기생생물처럼 애매한 것이 있다. 있기는 있는데 에너지를 외부에 의존한다. 그림자처럼 존재감 없이 불완전한 반존재들이 있다. 그림자는 있지만 곧잘 다른 그림자에 묻혀 버린다. 강물은 바다에 이르러 모두 연결된다.


    딱 구분하여 셀 수 없다. 어디까지가 임진강이고 어디부터가 한강인지 딱 잘라 말할 수 없다. 대나무는 뿌리가 연결되어 일제히 꽃을 피우고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다. 거기서 한 그루를 분리할 수 없다. 분리하려면 분리할 수도 없다. 애매하다. 세상이 구분단위로 되어 있다는 믿음은 착각에 불과하다.


    단위는 입자에 해당되는 것이며, 구조론으로는 질이 입자에 앞선다. 질은 중첩이다. 에너지는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받는다. 단위는 다른 단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잘라낼 수 없다. 손가락 마디를 잘라낼 수 없다. 팔에서 손을 뗄 수 없고. 어깨에서 팔을 잘래낼 수 없고. 몸통에서 어깨를 잘라낼 수도 없다.


    세상 모든 것은 에너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똑부러지는 입자는 없다. 존재는 사건이며 사건은 흐름 속에서 존재한다. 의사결정이 단위를 이룬다. 의사결정은 연쇄적으로 일어난다. 당신이 스스로 백화점에서 어떤 옷을 선택했다고 믿지만 사실은 의류 디자이너들이 당신에게 선택지를 제공한 것이다.


   28.jpg 29.jpg 30.jpg 31.jpg


[레벨:5]상무공단의아침

2015.09.20 (01:11:22)

대단하십니다. 


시소는 지구라는 별의 중력으로 운동을 하고


지구는 태양주위를 태양의 인력과 원심력으로 공전을 하니


에너지의 관점에서 봤을 때 연결되어 있군요.


그러므로 시소는 태양과도 에너지의 관점에서 연결되어 있군요.


그런식으로 들어가면 세상모든 것은 에너지의 관점에서 연결되어 있군요.


입자 중심의 세계관에서 에너지의 관점을 새로 보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13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081
4094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174
4093 언어는 맥락이 필요하다 1 김동렬 2019-12-18 5179
4092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 김동렬 2015-12-27 5185
4091 본질주의와 도구주의 1 김동렬 2020-08-27 5188
4090 구조는 이중구조다 image 김동렬 2015-10-26 5190
4089 공자 21, 나면서 아는 것이다 image 김동렬 2016-02-25 5190
4088 사랑 68, 사는 방향으로 가라 image 1 김동렬 2016-03-07 5190
4087 사랑 69, 반응에서 호응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08 5190
4086 사랑 70, 깨달음은 감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9 5193
4085 믿음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10-27 5193
4084 사랑의 정석 62, 소들의 평상심 image 1 김동렬 2016-02-26 5195
4083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197
4082 호기심테스트 김동렬 2003-06-21 5201
4081 창조냐 구조냐? image 1 김동렬 2015-04-12 5202
4080 사랑 123, 화수분 인생 1 김동렬 2016-07-18 5202
4079 사랑 86, 역사자랑은 수치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5206
»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9-19 5206
4077 연역의 재현과 귀납의 관측 1 김동렬 2020-03-10 5207
4076 사랑 77, 인류의 프로젝트 image 2 김동렬 2016-03-18 5208
4075 사랑 100, 팀은 복제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5 5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