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요즘 제가 준비하고 있는 일이 있습니다.

비리사학을 비호한 검찰들의 직권남용이나 직무유기에 대해

여러 사람들과 함께 릴레이 칼럼을 쓰는 것인데요.


진행하다가 보니까 대안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고

미국의 검사장 선출제도에 대해 접하게 되었습니다.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229


이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레벨:17]눈마

2018.05.01 (19:40:20)

각지역구의 검사장을 현재 한국의 교육감처럼 선거로 뽑는 걸 말합니다.


변호사들중에서 국민의 신뢰를 얻은 사람들을 경쟁시켜서 뽑는제도. 그렇게 뽑힌 검사장들이 자기 세력을 거느리고 나가는 제도가 되는거죠. 물론 정당에 소속되어서. 


지금까지의 폐쇄적인 한국의 법조계에선 필요한 제도로 보여집니다만, 법조계 자체가 노무현 변호사 문재인 변호사처럼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될수 있는 제도가 아닐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5.01 (19:48:04)

감사합니다.

그런데 정당에 소속되어야 유리한가요?

무소속으로는 당선되기 어렵나요?

[레벨:17]눈마

2018.05.01 (22:37:39)

저도 구글링하면서 연구하다보니, 모든 검사들이 선거를 치루는것은 아니고,

민주당 공화당 인디펜던트 (무소속)으로 나위어서 선거에 임하네요. 


아무리 무소속이더라도 조직의 도움이 선거에는 절실하다는거겠죠.


https://www.independentamericanparty.org


반면, 민주 공화당은

https://www.democrats.org

https://www.gop.com


우리 나라의 경우는,  기존의 고검을 선거로 뽑는게 합리적으로 보이네요. 총장과 법무부장과는 대통령 지명과 국회 비준이 맞구요. 


여튼, 무소속이더라도, 정당에 속해 있고. 정당의 조직지원뿐 아니라, 정당을 통한 공개 보증 시스템을 구축하는게 사람 자체를 믿는것보다는 위험도가 적다는 거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5.02 (06:32:48)

그렇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040
1755 양자얽힘의 부정, 아인슈타인의 유령작용 3 현강 2020-08-22 1813
1754 학습에 대하여 현강 2020-08-21 1343
1753 텐서 2 현강 2020-08-21 1593
1752 오늘이 의사 파업일입니다. 1 회사원 2020-08-21 1357
1751 오랫만입니다~ 그리고 원전위험공익정보센터 기부희망 image 1 수원나그네 2020-08-21 1372
1750 파인만의 이중성 2 이금재. 2020-08-19 1628
1749 이번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3 오리 2020-08-19 1427
1748 전국토를 정원으로 만들자 ahmoo 2020-08-19 1262
1747 좋은 조건 다음 2020-08-18 1965
1746 환원주의 대 창발주의 image 1 다음 2020-08-17 2534
1745 메타학문의 의미 다음 2020-08-16 1651
1744 제대로 된 인과율은 5다. 현강 2020-08-15 1321
1743 밖이 답이지만 그 밖은 우리가 찾아나서야 한다. 현강 2020-08-14 1185
1742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8-13 1235
1741 확률은 바꿀 수 있다. 현강 2020-08-13 1231
1740 중첩은 1이다. 현강 2020-08-12 1338
1739 확률과 구조론 다음 2020-08-10 1290
1738 정보냐 밀도차냐 현강 2020-08-10 1267
1737 관계와 관측 그리고 사건 현강 2020-08-09 1199
1736 의식과 무의식, 엔트로피에 대한 착각 현강 2020-08-08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