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927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713
1580 중국무술은 없다. 5 김동렬 2015-03-21 4749
1579 개콘이 사랑받는 이유는? image 6 김동렬 2013-02-26 4746
1578 김동렬님께 1 읍내리 2009-04-10 4744
1577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743
1576 여자는 왜 꽃을 좋아하는가? 2 냥모 2013-04-28 4741
1575 인간의 진화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 9 김동렬 2011-07-04 4740
1574 아무님의 교육 5단계론에 대한 생각. 3 르페 2009-01-11 4737
1573 구글의 대승전략, 네이버의 소승전략 3 김동렬 2014-01-28 4736
1572 사도세자는 과연 뒤주에 갇혀 죽었는가? image 6 김동렬 2018-01-16 4735
1571 바탕소 문제 image 4 김동렬 2016-01-23 4735
1570 상담자들에게 고함. 3 오세 2010-04-14 4728
1569 왜 주몽은 투먼인가? image 김동렬 2016-07-28 4726
1568 애니메이션 흥행순위 image 7 김동렬 2013-10-31 4724
1567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724
1566 아래 댓글이 넘 길어..... image 20 지여 2011-01-13 4721
1565 이덕일이 나쁜 놈이다. 3 김동렬 2015-10-01 4717
1564 야만. 2 오세 2010-02-10 4716
1563 전쟁의 기술. 3 오세 2010-04-13 4716
1562 임금진화론 image 3 김동렬 2015-09-14 4709
1561 운명과 자유의지 3 김동렬 2014-01-07 4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