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48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22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184
6415 원리가 진리다 김동렬 2023-07-27 2091
6414 가두는 것이 있다 김동렬 2023-07-26 2131
6413 교양 없는 한국인들 김동렬 2023-07-25 2787
6412 지식의 타락이 위기의 본질 김동렬 2023-07-25 2187
6411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3-07-25 2208
6410 인간의 한계 김동렬 2023-07-24 2122
6409 조중동의 윤석열 관리 김동렬 2023-07-23 2271
» 유체의 자발성 김동렬 2023-07-23 1748
6407 차별과 증오의 야만인 정치 김동렬 2023-07-23 1969
6406 존재의 엔진 김동렬 2023-07-22 1919
6405 오은영 원리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3-07-21 2622
6404 이기는 원리 김동렬 2023-07-20 2152
6403 남성이 가슴에 집착하는 이유 김동렬 2023-07-19 2765
6402 낳음 김동렬 2023-07-18 2699
6401 현대차가 도요타를 제치는가? 김동렬 2023-07-18 2836
6400 윤석열의 점령군 정치 김동렬 2023-07-17 2599
6399 하나가 더 있다 김동렬 2023-07-17 2231
6398 충청도 죽이기 김동렬 2023-07-16 2596
6397 완전성의 세계관 김동렬 2023-07-15 2339
6396 교권붕괴가 학교폭력 원인이다 1 김동렬 2023-07-14 3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