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680 vote 0 2017.12.15 (17:10:54)

       

    구조론은 세상이 구조로 되어 있다는 좋은 소식이다. 그래서? 통제가능하다. 구조는 얽힘이고 얽힌건 풀면 되니까. 구조가 아니면 원자다. 뉴턴에 의하면 원자는 관통되지도 않고 나눠지지도 않는다고 한다. 세상이 원자와 같이 견고한 알갱이로 되어 있다면 곤란하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풀리지 않는다.


    사과는 사과다. 사과를 배로 바꿀 수 없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원자는 나눌 수 없고 관통할 수 없으니까. 통제불가능이다. 우리를 좌절하게 한다. 그런데 왜 뉴턴은 그런 좌절을 우리에게 안겨주었을까? 신을 믿었으니까. 뉴턴은 별수 없는 기독교인이었다. 그런건 하느님이 어련히 알아서 챙기겠냐고.


    우리는 세상을 원자 알갱이의 집합으로 배웠다. 여기서 우리는 원자의 알갱이됨에만 주목하고 뒤에 붙는 집합은 대략 건너뛴다. 집합? 수학이잖아. 수학이야 뭐 수학자들이 알아서 하겠지. 신경 끈다. 그러나 집합이 핵심이다. 거꾸로 보자. 세상은 알갱이의 집합이 아니라 집합의 알갱이다. 집합이 먼저다.


    알갱이가 모여서 집합이 되는게 아니라 집합이 깨져서 알갱이가 드러난다. 세상은 널리 집합되어 있다. 어떻게? 구조다. 구조론은 세상을 알갱이의 집합이 아니라 집합의 알갱이로 보는 관점이다. 바람이 부는게 아니라 부는 그것이 바람이다. 바람은 머리에 잘 들어오는데 부는 것이라고 말하면 헷갈린다.


    원자는 머리에 잘 들어오는데 집합은 헷갈린다. 세상은 에너지로 되어 있다. 구조의 얽힘 그것이 에너지다. 얽혀서 집합된다. 수학의 출발점이 집합론인데 그 집합론을 건너뛰고 수학을 하니 세상이 이 모양이 되었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무엇이 있나? 구조가 있다. 여기서 안에 있느냐 밖에 있느냐가 중요하다.


    원소는 가만있는데 외부의 어떤 힘이 와서 집합을 시켜주는게 보통이다. 가만 있어도 엄마가 학교에 입학시켜준다. 가만 있어도 벽돌공이 모르타르를 발라서 벽돌을 쌓아준다. 그럴 리가 없잖아. 스스로 도와야 한다. 벽돌은 스스로 쌓여야 한다. 진학도 스스로 결정하고 입사도 자기 힘으로 해내야 한다.


    그러려면 에너지는 내부에 있어야 한다. 내부에 있으면 관통되고 통제된다. 벽돌은 앞뒤구분이 없다. 대충 쌓으면 된다. 모르타르가 외부에 있으니까. 레고블럭은 그렇지 않다. 요와 철이 방향이 맞아야 한다. 의사결정이 내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레고를 판매할 때 처음부터 그림을 맞춰서 판매한다.


    그러므로 집합이 깨져서 원소가 된다.


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99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950
3993 최장집 황석영들의 슬픈 허우적 김동렬 2007-02-13 11125
3992 깨달음의 방아쇠를 품어라 image 9 김동렬 2012-11-13 11120
3991 지갑줏은 민노당 그 지갑 어쨌나? 김동렬 2007-01-12 11120
3990 1분에 끝내는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1-08 11098
3989 한국 영화의 경쟁력 김동렬 2006-02-07 11098
3988 과학과 연금술(보강) image 4 김동렬 2011-05-06 11093
3987 생각을 잘 하는 방법 11 김동렬 2013-07-24 11089
3986 능력과 매력의 함수관계 image 3 김동렬 2013-02-13 11086
3985 각운동량의 의미 image 3 김동렬 2018-05-02 11080
3984 “황진이의 한계” 김동렬 2007-06-19 11080
3983 문제제기와 문제해결 image 2 김동렬 2016-11-04 11079
3982 학문과 예술 김동렬 2006-02-18 11078
3981 K 팝의 가능성? image 5 김동렬 2011-11-22 11077
3980 유태인이 뛰어난 이유 5 김동렬 2013-10-14 11071
3979 구조론으로 본 진화론 김동렬 2007-03-02 11070
3978 유시민은 솔직한가? 김동렬 2005-10-13 11068
3977 연역어와 귀납어 6 김동렬 2013-07-30 11063
3976 삶의 의미는 미학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8-05-18 11061
3975 영국차가 망해먹은 이유 image 17 김동렬 2014-07-13 11060
3974 자유의지란 무엇인가? image 9 김동렬 2013-12-31 11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