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919/972/972919.jpg)
![포인트:47812point (4%), 레벨:23/30 [레벨:2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3.gif)
힐러리는 방심할 수밖에 없었다고 봅니다.
지도자라면 선거판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하는데,
힐러리도 어쩔 수 없는 미국인일 뿐이었기 때문입니다.
무리속에 낑겨있었던 거죠.
지도자라면 한 발은 무리에, 다른 한 발은 외부에 걸쳐놓아야 합니다.
중간자적 존재여야 현상을 정확하게 바라볼 수 있는 거죠.
아무나 대통령 되는 거 아닙니다. 적어도 진보정권이라면 말이죠.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4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사건을 볼 때
분노나 기쁨
분개나 재미
이런 것을 냉정하게 제거하고
사건이 전개되어 가는 것만 봐야 하는 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것을 잘 못하는 것 같습니다.
유시민이 가장 약한 부분도 이부분 같고요.
이것만 잘해도 상황을 오판하지 않을 확률이 크다고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https://gujoron.com/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415/014/14415.jpg)
![포인트:17257point (84%), 레벨:13/30 [레벨:1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3.gif)
대중의 엘리트주의에 대한 반감....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5046point (47%), 레벨:7/30 [레벨: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7.gif)
무슨 뚱딴지 같은.... ㄱ 소리들인지?
구조론에서 이미 다뤘던 얘기
힐러리의 패배는
1. 미국 대선 투표제도의 문제점
2. 흑인대통령을 겪고 난 후 백인들의 반동적 행동
3. 미국민들의 세계패권주의 포기
등등
언론 탓? 선거 무전략 때문?
표를 더 받고 떨어진게 힐러리 탓이라고?
미국 언론이 트럼프를 무시한게 힐러리 탓이라고?
흑인대통령직후에 치뤄진 대통령투표가 힐러리 탓이라고?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4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경제는 정치가 안정되어야 발전하므로
(이런 말 써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아직 민주주의 경험이 없는 북한국민에게
집권하고 있는 (?) 김정은이 잘 이끌어서
어느 정도 경제성장이 달성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만약에 쿠데타가 일어나면
또 다시 비슷한 쿠데타가 일어 날 수 있고
그러면 관료들도 혼란스럽고 북한민도 혼란스럽고
북한과 일을 하고 싶은 나라는
누구한테 서류에 도장을 찍어 달라고 해야하는지 모르겠고
상황은 더욱 안 좋아질 것입니다.
어제 TV보는 내내
이제는 북한의 연착륙(??)이런 것이 필요하지 않나?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남미의 상황을 보면
더욱더 정치의 안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그만큼 서구 엘리트정치가 종말을 가한다는 인상도 지울수 없습니다.
워싱턴 컨센서스에 민감하게 작용한
뉴욕 사업가들 트럼프와 줄리아니죠.
https://namu.wiki/w/루돌프%20줄리아니
![프로필 이미지](/xe/./modules/board/skins/retweetCrom_sisabang/avatar.gif)
![포인트:11294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공화당이 집권하면 보호주의, 관세문제, 석유값 문제 등
항상 나오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이야기 나올 때에는 경제가 바닥에서 성장을 진입해서
더 큰 성장(?)으로 들어가 갈 때 많이 나왔습니다.
어떻게 보면 미국이 유럽이나 아시아나 수출을 할 수 없으니
관세문제로 수출이나 수입을 조절하여
상품의 가격을 조절 하려는 것이 아닌 가 합니다.
준표야, 뭐하냐?
선관위에 신고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