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read 3141 vote 0 2017.07.06 (22:32:04)

<꼬리자르기 - 머리자르기>

비온다. 빗소리와 차와 나 그리고 음악... 눈을 감아 본다. 고요하게 스며오는구나. 눈을 감으니, 한 생각이 떠오른다.

요즘 나누었던 대화들이 머리속을 맴돈다. 문득 스쳐가는 대목이 있어서 붙잡아 보았다.

노무현의 말, '이제 여러분들은 저를 버리셔야 합니다'
그 말을 모두 곡해하고 있었다. 어쩌면. 아니, 다 제대로 알아들었던 것이었을까...?

이런 명제가 있다고 치자.
신의 실패는 신의 실패일 뿐이지 인간의 실패는 아니다.
신은 언제라도 안되면 쓸어버리고 새로 하던지 말던지 하자. 이다. 하다 안되면 거기서 멈추게 된다. 한계가 설정되기 때문이다. 도무지 말을 못알아 먹는 인간의 한계에 신 스스로 절망한다. 신이 좌절하여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져, 인간에게 걸었던 모든 것을 회수하려 할때, 그때 인간은 '아니야, 기회를 줘. 아직은 더 가볼 여지가 남아 있어. 인간에게 맡겨줘봐.' 어디선가 신의 계획에 '난, 반댈세' 를 외치고 나오는 인간은 꼭 있게 마련이다. 신은 좌절속에서도 묘한 흥분을 느끼게 된다. 그 무수한 거절과 실패에도 불구하고 단 한 송이 꽃을 피울수만 있다면 되는 일이었다. 신은 분노를 하는척하다가 슬그머니 누그러져 '그럼 어떻게 해볼건데?' 라고 묻는다. 인간은 답한다. '인간에게 있는 것으로!'. 신은 생각한다. 계획은 끝나지 않았어...

인간의 문제도 그렇다. 개인이 뭔가를 시도하고 집단이 영향을 받는다. 문제가 발생했다. 인간은 대체로 꼬리자르기를 시도한다. 개인이 집단안에서 무엇인가를 시도해도 최종 수렴은 개인에게로 돌아간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은 실패해도 집단은 실패하지 않는다. 개인은 개인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해 좌절하지만 집단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설 수 있다. 그러므로 꼬리자르기를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집단이 개인을 희생시키면 집단은 파멸하게 된다. 신이 인간에게 불씨를 주지 않았다면 신은 파멸하게 된다. 존재 근거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개인은 개인의 한계를 넘지 못해 자학하면서도 무엇인가를 자기 바깥으로 내놓는다. 문득, 미술관에서 누군가는 그림을 본다. 누군가의 가슴에 불이 옮겨 붙었다. 신은 그렇게 계획을 증명하고 실현한다.

노무현은 스스로 꼬리자르기를 시도했다. 집단을 살리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과연 노무현은 꼬리였는가? 노무현은 꼬리자르기란 명목을 수면위에 띄워 놓고 실상은 머리자르기를 시도하였다. 그런데 머리를 자르면 어찌되는가? 노무현은 알고 있었다. 이미 머리가 복제되었다는 것을. 아니 기승전결을 알고 있었다고 해야 맞을 것이다. 노무현은 불씨를 이미 건네주었다. 반면에 그는 개인이라는 틀에 철저하게 갇히게 되었다. '여러분은 이제 저를 버리셔야 합니다' 이 먹먹한 피울음에 지금도 코끝이 시려온다. 어쨌든 개인 그 자체로서는 산산히 부숴진 것이었다.

개인은 실패해도 집단은 실패하지 않는다. 자기를 버려서 집단을 살려놓기 때문이다. 불씨를 옮기는 작업에서 방해를 받을때, 그 불씨를 보존하는 방향을 선택하게 된다. 누가? 개인이다. 집단은 불씨가 이미 옮겨진 줄도 모르고 개인만 바라보고 있다. 그래서 어쩔수 없이 , '이제 여러분은 저를 버리셔야 합니다.' 라 하였다. 그 뒷말은 아마도, '이제 여러분은 새로운 방향으로 더 넓게 깊게 불씨를 옮겨야 합니다.' 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역으로 집단에서 꼬리자르기를 액면 그대로 시도한다면 어찌 될까? 불씨를 옮기는 작업이 아니었다면 어찌되는 것인가? 이럴때 머리자르기란 자기희생은 절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집단에서 자기이익적 희생을 강요하거나 충성심을 악용하면, 집단은 파멸한다. 집단이 파멸하면 개인들도 공멸이다. 불씨를 옮기는 작업이 아니었다면, 복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노무현을 삐딱하게 바라 보는 자들이 결코 보지 못한 지점이다. 국민의당의 사태는 왜? 볼 것을 제대로 보아야 하는지를 알려줄 뿐이다.

*은유된 내용은 특정 종교와 하등의 상관이 없으니, 오해는 사절입니당.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332 종교와 집단 담 |/_ 2015-05-01 1907
4331 2017 - EXPEDITION_ two 1 배태현 2017-03-18 1907
4330 스승의 날 특집 역삼동 정기모임 image 6 냥모 2014-05-15 1908
4329 구조론 토론회 - 역삼동 image ahmoo 2014-10-16 1908
4328 구조론 목요 토론회 image 1 ahmoo 2014-10-30 1908
4327 자한당 애들을 혼내키는 법 다원이 2017-10-26 1908
4326 사회적 거리두기(2) - 문명과 문화 단상 image 2 아란도 2020-03-13 1908
4325 이건 구조론적 전개일까요? 수원나그네 2015-12-16 1909
4324 한식세계화의 걸림돌은 바로 우리 자신들 아란도 2017-02-05 1909
4323 토요 독서 모임 장소 변경 공지 챠우 2016-11-05 1909
4322 학교폭력 상담 관련해서 서천석의 '아이와 나' 팟케스트에 출연했습니다. 이상우 2017-10-16 1909
432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2-05 1910
4320 블록체인 기반 백과사전 에브리피디아 한국지사 활동. 4 mowl 2019-08-12 1910
4319 슬로의 미학을 아는 록스타 1 까뮈 2014-08-01 1911
4318 [경향] 이원영 교수 “전 세계 원전 감시하는 ‘종교계 연합 국제기구’ 세울 것” 수원나그네 2016-11-17 1911
4317 산책길에 1 생글방글 2017-03-21 1911
4316 선거의 중립성이 무엇일까? 아란도 2017-01-10 1912
4315 김구 선생이 쓰치다를 쳐 죽인 것도 마이너스로 볼 수 있을테지요? 1 귤알갱이 2018-01-08 1912
4314 오늘 모임 없습니다. [냉무] image 1 ahmoo 2015-02-19 1913
4313 역삼 정기 모임 image 1 ahmoo 2014-05-29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