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283 vote 0 2016.10.19 (20:18:06)

za.jpg

     

    쉽다. 구조론이 어렵다고 여기는 사람은 뭔가 근본에서 뒤틀려 있다고 봐야 한다. 위상位相의 위는 위치, 상은 서로이니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다.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닫힌계를 설정하는 문제를 담고 있다. 닫힌계 바깥의 간섭을 배제하는 논리장치다.


    세상은 상호작용과 인과작용으로 작동한다. 인과작용에 대해서는 근대과학이 충분히 규명하고 있다.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먼저 게임의 규칙을 정해야 한다. 무엇인가? 많은 일들은 지구라는 환경 안에서 일어난다. 즉 외부로부터 간섭받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과는 왜곡된다. 외부환경의 간섭을 배제했을 때 판단기준은? 축구는 심판이 판단하고 관객이 판단하지만 심판도 없고 관객도 없다면? 서로가 서로의 판단기준이 된다. 이것이 상대성이다. 이 상대성이라는 것이 관측자 입장에서는 상대적이나 게임 안에서는 절대성이다.


    지구에 오직 두 나라만 있는데 강대국과 약소국이다. 두 나라가 전쟁을 한다면 옳고 그름의 기준은? 심판을 봐줄 제 3국은 없다. 이때는 강대국의 무력이 절대적 기준이 된다. 힘이 곧 정의가 된다. 상대성이 절대성이 된다.


    게임이 시작되면 경도와 위도로 표시되는 지구좌표에서의 절대적 위치는 변해도 둘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우주공간에 별도 없고 달도 없고 해도 없는데 오직 두 사람이 있다면? 동서남북은 없다.


    위도 없고 아래도 없다. 오직 상대방의 위치만이 절대적 기준이 된다. 그것을 논하는 것이다. 그 상황에서 상대방과 나를 연결하는 라인이 하나냐 둘이냐에 따라 상호작용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물론 우리의 지구 위에서는 지도 위에 그려진 도로망에 따라 수도와 지방이 결정되지만 말이다.


    외부를 닫아걸고 상대를 절대화 하는 것이 위상수학이다. 상대성의 절대성이다. 이는 에너지의 성질이다. 에너지의 위상은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 밖에 없으므로 쉽다. 나와 상대를 연결하는 라인이 다섯인 질에서부터 시작하여 라인을 하나씩 차단하면 입자, 힘, 운동, 량으로 바뀐다. 처음 바깥에서 에너지를 들여오는 작용 반작용의 대칭구조를 내부에서 복제하면 다섯이 된다.


   555.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56
3832 여자가 잘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8-05-27 10284
» 상대성이 절대성이다. image 김동렬 2016-10-19 10283
3830 밀도를 볼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0-22 10281
3829 기본이 안된 분들께 image 9 김동렬 2013-06-30 10274
3828 의외성을 활용하라 image 3 김동렬 2013-06-19 10271
3827 눈앞의 황금은 챙겨라 image 2 김동렬 2013-05-17 10271
3826 구조론연구소의 방법 image 18 김동렬 2014-03-20 10261
3825 입자와 파동 image 김동렬 2013-06-24 10256
3824 무신론자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8-05-14 10254
3823 세 법 술의 경제학 1 김동렬 2013-02-15 10247
3822 구조론 개요 김동렬 2013-07-28 10243
3821 생각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3-08-28 10231
3820 기사도와 선비정신 image 1 김동렬 2018-05-18 10230
3819 구조론의 최종결론 1 김동렬 2013-08-05 10225
3818 사과는 어디에서 왔는가? 2 김동렬 2013-08-07 10224
3817 문희상의 사망선고 김동렬 2005-10-27 10221
3816 진화론과 창조론 image 8 김동렬 2013-08-20 10210
3815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5-12-27 10205
3814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8-27 10201
3813 깨달음의 언어 image 1 김동렬 2013-02-07 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