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read 2043 vote 0 2019.03.16 (07:29:16)


"오늘날, 현대 물리학의 여러 이론들은 새로운 수학적 언어로 쓰여져야만 하는 문제들을 맞닥뜨리고 있습니다. 수많은 물리학자들이 한계에 부딪혔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때문에 어떤 연구자들은 더 심오한 이론을 만들기 위해 시공간 개념을 사용하지 않는 물리학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카니-하메드는 우리가 답을 계산하기 위한 기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질문들을 발견해나가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자연을 설명하는 여러 물리 법칙의 존재는 어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수학적 질문의 답처럼 보입니다."

"아카니-하메드는 물리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이 모든 답을 찾을 수 있는 수학적 질문을 찾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물리학은 거꾸로 뒤집어진 느낌이 듭니다. 답은 이미 우리 주변에 있습니다. 질문을 모를 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3.16 (08:40:50)

최소작용의 원리가 정답입니다.

우주는 오직 균일과 불균일로만 설명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계의 균일이 최소작용이라는 거지요.

균일은 같음, 불균일은 다름.


같음과 다름만으로 설명하는 것이 수학입니다.

그것을 물질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빛보다 빠른 것이 있습니다.


광속을 결정하는 그것이 있는 것입니다.

최초에 다름이 있었고 일정한 조건에서 같아지는 것이며


같게 하는 것은 변화이고 변화는 광속으로 나타납니다.

대칭을 유지하는 속도가 광속입니다.


변화한 결과로 같아지면 물질이 됩니다.

공간과 시간은 당연히 존재하지 않습니다.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는 

모두 하나의 연속적인 전개입니다.


물질의 공간성을 공간이라고 하고 

물질의 시간성을 시간이라고 하는 거지요.


공간은 동시적 대칭이고 

시간은 동공적 대칭입니다. 


대칭은 의사결정이 가능한 형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5회에 걸쳐 의사결정구조를 소집하는 거지요. 


계의 불균일 상태에서 균일로 바뀌지만

이에 따른 효율성 만큼의 잉여에너지인 관성력 때문에 


다시 불균일해지며 계가 깨졌기 때문에 

원래대로 돌아갈 수 없고 그 위치에서 다시 작은 계를 


만드는데 계, 계 안의 계, 계 안의 계 안의 계 하는 식으로

5회에 걸쳐 계속 의사결정구조를 만들며


최종적으로 계가 완전히 깨져서 수습이 안 됩니다.

최종적으로 균일해지는데 계를 잃은 상태의 균일이라 최초의 균일과 다릅니다.


계의 관점에서 그것은 의사결정이 안 되는 불균일이며

이를 무질서도 증가로 표현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032 처음뵙겠습니다 인사드립니다 10 이은지 2014-10-08 2050
1031 인질이 되어 버린 아이들을 해방시켜라. 4 배태현 2016-08-17 2049
1030 영화 99 Homes(라스트 홈)(수정) 챠우 2016-07-16 2049
1029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03-05 2049
1028 젊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혁명! 1 신웅 2016-06-08 2048
1027 탄핵청원 역시나 매크로구나 image 승민이 2020-02-27 2045
1026 아버지 상담 2 이상우 2016-05-11 2045
» 수학, 물리학 그리고 자연... 1 kilian 2019-03-16 2043
1024 생존전략으로서의 물물교환의 기원 4 현강 2017-12-22 2044
1023 이게 국악쇼인가? 1 까뮈 2016-06-01 2044
1022 진로 2 펄잼 2015-10-24 2044
1021 <생각의 정석> 옹쿤 라이브2 4 냥모 2015-02-18 2044
1020 생각의 정석 파일 질문 2 락에이지 2015-01-30 2044
1019 차우차우 편 - 생각의 정석 2 아란도 2014-09-22 2044
1018 “날 비판하는 사람들? 50년 후엔 나만 남는다”? 5 kilian 2016-09-10 2043
1017 춘래불사춘 스마일 2018-03-22 2042
1016 사랑하므로 아픈 이들에 대한 악플 상무공단의아침 2015-12-11 2042
1015 구조론 다음은 무엇인가요 5 서단아 2019-05-04 2040
1014 이제는 버려야 할 과학적 아이디어 III – 맥스 테그마크 5 kilian 2016-09-20 2040
1013 요즘 교사 이야기 4 이상우 2019-10-03 2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