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034 vote 0 2017.04.07 (13:19:45)

k.jpg

 


   
    우리는 대상을 관측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자기를 관측하고 있다. 스킨십을 한다면 상대방의 몸을 빌어 자기 몸을 만지는 것이다. 자신이 자신을 만지면 뇌가 알기 때문에 상대방의 몸을 빌어 만짐으로써 뇌를 속인다. 자기가 만지면 뇌가 알기 때문에 간지럽지 않고 남이 만지면 뇌가 속으므로 간지럼을 탄다. 


    손으로 꽃병을 만지면서 우리는 꽃병을 관측했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지구 중력을 관측한 것이다. 반드시 매개하는 것이 있다. 우리는 관측대상 내부의 질서를 관측하려고 하지만 외부를 배제했을 때 내부는 깨진다. 관측할 수 없다. 구조론은 사건을 다루므로 사건은 매우 흔하게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매우 드물다.


    우주의 탄생은 매우 어렵다. 우주는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대칭은 오히려 우주를 붕괴시킨다. 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의해 우주가 건축되는 확률은 낮으며 실험실의 과학자라도 수억번의 실험으로 겨우 의미있는 자료를 건진다. 우주에 에너지가 무한에 가깝게 많으므로 확률을 얻어 겨우 우주가 일어났다.


    우리는 추론을 통해 연역의 방법으로 객관적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관측자의 주관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있는 그대로의 물 그 자체를 알 수 있다. 그것은 관측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관측을 부단히 배제함으로써 도달된다.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모두 제거했을 때 마지막 남는 것이 그것이다. 


    관측이 쓰이지만 관측으로 얻은 정보 그 자체는 의미가 없다. 그것은 추론의 단서일 뿐 지식은 연역에 의해 얻어지며 관측은 그게 그것인지 맞춰보는데 쓰인다. 강호동과 옥동자의 씨름대결이면 강호동이 이긴다. 그런데 그 강호동 맞아? 지금 착오로 김호동을 말하고 있는거 아녀? 이 때문에 관측이 필요한 거다.  

    

ㅣ.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zuna

2017.04.07 (20:22:20)

"플랑크 스케일"이란 불확정성원리와 연결되는데, 속도란 반드시 떨어진 두 점이 있어야 결정되는 양이고 위치는 한 점을 말하는데 무한히 무한히 작게 두 점을 좁혀서 거의 한 점 가까이 가는 것이 수학의 극한인데 물리적으로는 마지막에 플랑크 스케일에 걸려서 그 밑으로는 못내려 가는 겁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0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758
3792 모든 것의 시작 image 김동렬 2015-06-23 6085
3791 말을 똑바로 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image 5 김동렬 2016-02-12 6085
3790 운동에너지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5-06-15 6088
3789 천하인이 될 것인가 소인배가 될 것인가? 2 김동렬 2018-08-22 6088
3788 북극의 북쪽에 무엇이 있을까? image 1 김동렬 2015-10-05 6096
3787 공간과 시간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0 6101
3786 존재는 정靜이 아니라 동動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5-31 6107
3785 진리와 인간의 일대일 image 김동렬 2014-11-18 6110
3784 모든 문제의 정답 2 김동렬 2014-09-05 6116
3783 누가 역사의 승리자인가? image 3 김동렬 2016-08-06 6118
3782 볼테르와 그의 친구들 2 김동렬 2015-04-06 6119
3781 자연법칙의 이해 2 김동렬 2014-09-15 6123
3780 대결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4-21 6128
3779 비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1-02 6130
3778 시간여행의 딜레마 image 김동렬 2014-11-20 6131
3777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4-09-08 6132
3776 진화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9-22 6132
3775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36
3774 동의 동을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1-04 6138
3773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