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641 vote 0 2017.03.17 (11:16:41)

d.jpg


e.jpg



   

    펜타그래프 구조론


    한동안 잊었는데 펜타그래프야말로 구조론을 설명하기에 좋은 도구다. 딱 봐도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 매개변수가 보인다. 축이 다섯 개 있다. 지하철 지붕 위에도 있다. 마름모꼴로 되어 있지만 한쪽 팔을 빼도 된다. 축이 여섯 개로 보일 수 있지만 하나는 고정장치라 빼도 된다.


    원본이 되는 상부구조와 복제본이 되는 하부구조 사이의 방향성을 알 수 있다. 하부구조로 갈수록 상호작용총량이 증가하므로 서로 충돌하여 상쇄되는 손실을 막으려면 집단은 원본의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을 알 수 있다. 구조론의 여러 풀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


    펜타그래프는 A와 그 변화에 B와 그 변화가 연동될 때 그 둘을 통일하는 C와 그 변화다. 곧 구조의 복제다. 이것으로 완성되어 있다. A와 B는 상대적이지만 하나의 축에 꿰어져 있으므로 절대성이 성립한다. A와 B는 외부의 관측자에 대해 상대적이지만 서로에 대해서 절대적이다.


    아인슈타인이 맥스웰 방정식을 뒤지다가 로런츠 변환을 보고 이 구조를 적용하면 공간과 시간이 상대적이지만 그러므로 광속이 절대적이어야 한다는 일반상대성이론이 자동으로 튀어나와 주시는 거다. 아인슈타인 정도만 되면 5초 안에 일반상대성이론을 깨달을 수 있다. 복제한다.


    생각하고 자시고 할 필요도 없다. 그냥 찍어내는 거다. 포드시스템이다. 세상이 상대적이라니 어쩌구 하는 넘은 웃긴 넘이다. 상대성 둘이 만나면 곧 절대성이 성립하는 것이다. 상대성은 관측자에 대해 상대적이며 관측자는 외부에 있으므로 빠져! 남북한이 서로에 대해서는 절대적이다.


    남북한이 중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행동하지만 서로 총질하는건 절대적이다. 남한이 한미합동군사훈련을 하면 북한은 미사일을 쏜다. 이건 절대적이다. 근데 중국 입장에서 보면 남이나 북이나 이랬다 저랬다 한다. 하여간 상대성 타령을 하는 넘들은 아직 이것을 못 본 것이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고 말을 하지만 진짜로 봐야 하는 것은 달과 손가락 사이에 성립하는 불변성이다. 달과 손가락 사이에 펜타그래프를 둔 사람만이 똑바로 보고 있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란다고 달을 보는 넘은 여전히 깨닫지 못한 넘이다. 펜타그래프를 보라.


   20170108_234810.jpg


    고수는 문제에서 답을 찾는 귀납이 아니라 답에 문제를 꿰어맞추는 연역법을 씁니다. 답은 정해져 있으니 그것이 펜타그래프입니다. 저울이기도 하고 모래시계이기도 한데 펜타그래프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86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30
3795 사건이냐 사물이냐 image 1 김동렬 2013-05-09 10077
3794 자유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02-18 10076
3793 세상의 작동원리 김동렬 2013-11-11 10074
3792 우주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3-11-22 10070
3791 칭찬교육의 함정 image 4 김동렬 2013-05-06 10062
3790 지성인의 자격 1 김동렬 2013-12-18 10042
3789 당신이 동기화 된 지점 image 2 김동렬 2013-04-22 10042
3788 신은 누구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3-27 10036
3787 불완전한 반존재들 image 김동렬 2013-06-10 10035
3786 결 도 리 법 질서 image 2 김동렬 2012-06-24 10033
3785 구조지능의 문제 1 김동렬 2018-05-11 10031
3784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김동렬 2018-06-02 10021
3783 수박겉핥기 역사 4 김동렬 2013-09-17 10010
3782 한 호흡에 쓰기 image 7 김동렬 2013-03-26 10005
3781 구조론이 주문하는 삶의 태도 image 3 김동렬 2012-07-04 10005
3780 진화론과 진보론 image 2 김동렬 2013-10-18 10003
3779 최후에 결정하는 자가 되라 김동렬 2014-02-05 9999
3778 쉽게 생각하자 image 4 김동렬 2013-07-08 9995
3777 보통사람의 보통 생각은 보통 틀린다. 2 김동렬 2018-06-03 9985
3776 하버드 교수식당 3 김동렬 2014-01-22 9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