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627 vote 0 2017.03.17 (11:16:41)

d.jpg


e.jpg



   

    펜타그래프 구조론


    한동안 잊었는데 펜타그래프야말로 구조론을 설명하기에 좋은 도구다. 딱 봐도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 매개변수가 보인다. 축이 다섯 개 있다. 지하철 지붕 위에도 있다. 마름모꼴로 되어 있지만 한쪽 팔을 빼도 된다. 축이 여섯 개로 보일 수 있지만 하나는 고정장치라 빼도 된다.


    원본이 되는 상부구조와 복제본이 되는 하부구조 사이의 방향성을 알 수 있다. 하부구조로 갈수록 상호작용총량이 증가하므로 서로 충돌하여 상쇄되는 손실을 막으려면 집단은 원본의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을 알 수 있다. 구조론의 여러 풀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


    펜타그래프는 A와 그 변화에 B와 그 변화가 연동될 때 그 둘을 통일하는 C와 그 변화다. 곧 구조의 복제다. 이것으로 완성되어 있다. A와 B는 상대적이지만 하나의 축에 꿰어져 있으므로 절대성이 성립한다. A와 B는 외부의 관측자에 대해 상대적이지만 서로에 대해서 절대적이다.


    아인슈타인이 맥스웰 방정식을 뒤지다가 로런츠 변환을 보고 이 구조를 적용하면 공간과 시간이 상대적이지만 그러므로 광속이 절대적이어야 한다는 일반상대성이론이 자동으로 튀어나와 주시는 거다. 아인슈타인 정도만 되면 5초 안에 일반상대성이론을 깨달을 수 있다. 복제한다.


    생각하고 자시고 할 필요도 없다. 그냥 찍어내는 거다. 포드시스템이다. 세상이 상대적이라니 어쩌구 하는 넘은 웃긴 넘이다. 상대성 둘이 만나면 곧 절대성이 성립하는 것이다. 상대성은 관측자에 대해 상대적이며 관측자는 외부에 있으므로 빠져! 남북한이 서로에 대해서는 절대적이다.


    남북한이 중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행동하지만 서로 총질하는건 절대적이다. 남한이 한미합동군사훈련을 하면 북한은 미사일을 쏜다. 이건 절대적이다. 근데 중국 입장에서 보면 남이나 북이나 이랬다 저랬다 한다. 하여간 상대성 타령을 하는 넘들은 아직 이것을 못 본 것이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고 말을 하지만 진짜로 봐야 하는 것은 달과 손가락 사이에 성립하는 불변성이다. 달과 손가락 사이에 펜타그래프를 둔 사람만이 똑바로 보고 있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란다고 달을 보는 넘은 여전히 깨닫지 못한 넘이다. 펜타그래프를 보라.


   20170108_234810.jpg


    고수는 문제에서 답을 찾는 귀납이 아니라 답에 문제를 꿰어맞추는 연역법을 씁니다. 답은 정해져 있으니 그것이 펜타그래프입니다. 저울이기도 하고 모래시계이기도 한데 펜타그래프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87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722
3792 토기장이의 비유 image 4 김동렬 2015-04-29 6628
3791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4-29 7133
3790 구조를 조립하라 image 2 김동렬 2015-04-30 5657
3789 사랑이냐 권력이냐? image 10 김동렬 2015-05-01 7365
3788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415
3787 용기있는 자가 진리를 본다 image 4 김동렬 2015-05-04 6886
3786 세상은 짜고 치는 고스톱 image 김동렬 2015-05-05 7052
3785 시스템으로 이해하기 image 김동렬 2015-05-05 6066
3784 세, 법, 술로 이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5-06 6490
3783 생각을 잘 하는 방법 image 5 김동렬 2015-05-06 9427
3782 구조값을 판단하라 image 2 김동렬 2015-05-07 6063
3781 다양성과 획일성 image 2 김동렬 2015-05-09 7118
3780 창의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5-05-10 9425
3779 엉뚱이가 창의를 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5-11 6353
3778 척 보고 아는 구조론적 센스 image 6 김동렬 2015-05-13 6732
3777 창조론의 즐거움 image 5 김동렬 2015-05-14 6333
3776 즐겁게 창조하자 image 김동렬 2015-05-16 5443
3775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5-18 5694
3774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5-05-18 7147
3773 총균쇠의 관점 image 1 김동렬 2015-05-20 6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