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995 vote 0 2017.02.22 (15:43:36)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피뢰침이 벼락을 맞듯이 뾰족한 곳에 가 있어야 신을 만나게 된다. 뾰족한 곳에 기어올라가거나 혹은 여럿이 모여서 뾰족하게 인간탑을 쌓을 수 밖에 없다. 뾰족한 집단의 대표성을 만들어낼 수 밖에 없다.


    때로는 한 사람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하늘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세월이 신이기도 하다. 한 사람의 전부를 만났다면 신을 만난 것이며, 한 하늘의 전부를 보았다면 신을 본 것이며, 한 세월의 정수를 보았다면 신을 겪은 것이다.


    한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다. 한 사람은 내 안의 전부를 끌어내는 장치다. 만날 사람을 만났을 때 내 영혼의 바닥까지 밖으로 끌어내지게 되는 것이다. 거울을 통해 나를 보듯이 한 사람을 만났을 때 상대방 마음에 비친 나 자신을 본다.


    신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신이 있어야 한다.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사람이 적어도 거기에 존재하여 있어야 한다. 비로소 착수할 수 있게 된다. 이 세상에 70억 명이나 있다는데 그중에 사람이 하나도 없다면 그것은 다른 문제다.


    인생은 의미 아니면 허무다. 허무는 여기서 끝이고 의미는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이 스테이지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면 마음의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여행자가 북극성을 찾듯이 신을 바라보아야 한다.


    신은 인간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존재하지만 모두의 소원을 들어주지는 않는다. 대표자 한 명의 소원을 들어줄 뿐이다. 신의 입장에서는 하나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운명의 하나가 되거나 그 하나에게 위임하거나뿐이다.


    인간은 신을 만나기 원하며 그 이전에 신이 거기에 있기를 원한다. 내가 거기에 있어야 신이 거기에 있다. 나를 만나는 만큼 신을 만난다. 나를 부정할 때 신이 부정된다. 의미를 부정할 때 신은 사라진다. 다음 단계를 부정할 때 신은 없다.


20170108_234810.jpg


    종교의 신으로 오해하면 곤란합니다. 이건 다른 이야기입니다. 신을 완전성이라는 단어로 바꾸어도 됩니다.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일관성 문제입니다. 내 인생에 있어서의 모든 의사결정들이 전부 하나로 연결되어 분명한 방향을 드러내야 그 낱낱의 결정들이 유의미해집니다. 


[레벨:11]큰바위

2017.02.22 (18:58:24)

이미 완전해져 있다. 

인간은 이미 신이 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34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46
3786 세상의 작동원리 김동렬 2013-11-11 10028
3785 우주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3-11-22 10019
3784 칭찬교육의 함정 image 4 김동렬 2013-05-06 10009
3783 사건이냐 사물이냐 image 1 김동렬 2013-05-09 10006
3782 지성인의 자격 1 김동렬 2013-12-18 10000
3781 신은 누구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3-27 9992
3780 구조지능의 문제 1 김동렬 2018-05-11 9988
3779 당신이 동기화 된 지점 image 2 김동렬 2013-04-22 9988
3778 결 도 리 법 질서 image 2 김동렬 2012-06-24 9984
3777 한 호흡에 쓰기 image 7 김동렬 2013-03-26 9977
3776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김동렬 2018-06-02 9976
3775 불완전한 반존재들 image 김동렬 2013-06-10 9973
3774 최후에 결정하는 자가 되라 김동렬 2014-02-05 9959
3773 구조론이 주문하는 삶의 태도 image 3 김동렬 2012-07-04 9953
3772 보통사람의 보통 생각은 보통 틀린다. 2 김동렬 2018-06-03 9945
3771 진화론과 진보론 image 2 김동렬 2013-10-18 9941
3770 수박겉핥기 역사 4 김동렬 2013-09-17 9939
3769 유태인의 조용한 죽음 1 김동렬 2014-01-13 9937
3768 쉽게 생각하자 image 4 김동렬 2013-07-08 9936
3767 하버드 교수식당 3 김동렬 2014-01-22 9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