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25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81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646
6732 조국인싸 동훈아싸 image 김동렬 2024-03-22 1825
6731 과학자의 조국 image 1 김동렬 2024-03-21 1697
6730 조국이냐 한동훈이냐 김동렬 2024-03-21 1675
6729 바보가 너무나 많아 김동렬 2024-03-21 1425
6728 밸런스와 엔트로피 김동렬 2024-03-20 1268
6727 박용진은 정치를 배워라 2 김동렬 2024-03-20 1760
6726 아무도 말하지 않는 정치의 진실 김동렬 2024-03-19 1694
6725 옥새파동이 무슨 상관? 1 김동렬 2024-03-19 1588
6724 엔트로피와 직관력 김동렬 2024-03-18 1272
6723 야당 찍는게 선거다 2 김동렬 2024-03-18 1461
6722 엔트로피 완전정복 김동렬 2024-03-16 1416
6721 조국 돌풍의 진리 1 김동렬 2024-03-15 3533
6720 엔트로피가 어렵다고? 김동렬 2024-03-15 1271
6719 국혐 포기는 이르다 김동렬 2024-03-14 2062
6718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1220
6717 구조론 대강 김동렬 2024-03-13 1276
6716 교언영색 한동훈 image 김동렬 2024-03-13 1620
6715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417
6714 그림은 완성되었다. 1 김동렬 2024-03-12 1705
6713 정치란 이렇게 하는 것이란다 김동렬 2024-03-12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