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레벨:17]눈마

2017.01.01 (01:16:17)

윗글의 건물보단 산만.

웃글의 건축은 도심의 캠퍼스인듯. 건물자체 통으로 AI SMART 대학문화가 들어가야.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12.31 (15:55:12)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직업이 건축이라 그런지, 건축쪽은 생각보다 개념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 좋은 건축이라 함은 대개 1. 공간(맥락), 2. 입체(mass)를 다루는게 아예 책에도 써있는 내용이죠. 

문제는 어울림인데, 이때부터 작자의 감각이 필요하게 되죠. 


도시의 맥락이 다양함을 이해하고, 그 맥락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의도를 반영하고, 이를 입체로 표현하는 과정

즉, 한정된 가능성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데, 대개 작자들이 있는 것은 보질 못하고, 다른 곳에서 혹은 책에서 본 엉뚱한 것을 대상지에 차입하는 과정에서 건축이 망합니다. 


이런 감각을 키우고자, 소위 다양한 견문이 필요한데, 그래서, 좋은 건축가는 여행을 많이 한다고 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854
937 임나일본부에 대한 견해 김동렬 2016-11-27 3426
936 올 겨울 춥다? image 김동렬 2016-11-30 3209
935 구조론적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4 김동렬 2016-12-01 5978
934 내일 촛불 따뜻하다. image 2 김동렬 2016-12-02 3628
933 김기춘이 봐야할 만화 image 5 김동렬 2016-12-08 4199
932 9900만년 전 공룡꼬리깃털 발견 image 김동렬 2016-12-12 3560
931 조선일보의 비밀 image 2 김동렬 2016-12-15 4124
930 구조론과 강화학습 챠우 2016-12-16 3225
929 구조론으로 익힌것. 눈마 2016-12-23 2636
928 경향신문의 절대오보 image 김동렬 2016-12-31 2884
» 괜찮은 건축의 방향 image 4 김동렬 2016-12-31 3373
926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01-02 6820
925 나쁜 사람들과 더 나쁜 사람들 3 김동렬 2017-01-03 3549
924 역사의 진실 2 김동렬 2017-01-04 3046
923 [제민] 인공지능시대 어떻게 살 것인가? image 1 ahmoo 2017-01-04 3020
922 바둑 세계랭킹 1 김동렬 2017-01-05 3242
921 구조론으로 익힌것 2 존재-확율 눈마 2017-01-06 2374
920 왜 다시 공자인가? 3 김동렬 2017-01-06 3314
919 지구는 추워요. image 1 김동렬 2017-01-08 3228
918 호모 날레디의 등판 김동렬 2017-01-09 3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