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다는 맞고 틀리다는 틀리다? 아는 척 하는 사람들이 잘 쓰는 훈장질에 이런게 있다. A와 B는 다른 거지 틀린게 아니라고. 그 말이 맞을 때도 있다. 그러나 자장면이 맞고 짜장면이 틀리다는 생각은 틀린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문화는 다르다고 해야할 때도 있고 한국과 일본의 문화는 틀리다고 해야할 때도 있다.
◎ 한국인은 국수를 먹고 일본인은 우동을 먹는 것이 다르다.
◎ 다르다는 분류구분을 나타낸다. ◎ 틀리다는 둘의 불일치를 나타낸다. 틀리다라고 할 때도 있다. 틀리다의 어원은 틀다이고 다르다의 어원은 떼다이다. 다르다는 간격이 띄어져 있으니 갈래가 다르다. 틀리다는 간격이 붙어 있으니 갈래가 같다. 다른 갈래이면 다른 것이고 같은 갈래이면 틀린 것이다. 그러므로 같다는 전제를 깔고 갈 때는 틀리다가 맞다. 물론 필자의 견해는 어원을 깊이 연구한 바 학계의 자의성설을 부정하고 필자의 언어진화론에 기초하여 하는 말이므로 국립국어원의 입장과 다를 수 있다. 다르다가 더 포괄적인 표현이고 틀리다는 강조하여 하는 말이므로 틀리다로 해야할 때가 있다. 다르다와 틀리다는 방향이 다르다. 물론 필자의 언어진화론에 기초하여 언어는 곧 방향이라는 대전제를 받아들여야 이야기가 된다. 모든 어휘에는 방향표시가 숨어 있다. 영어를 어려워 하는 이유는 단어에 숨은 방향을 포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르다의 어원은 떼다이고 떼다의 반대는 같다이고 같다의 어원은 꿰다이다. 꿰미에 꿰어져 있는 것을 떼면 다르다. 틀리다의 어원은 틀다이고 틀다의 반대는 맞다이고 맞다는 둘이 맞물려 있는 것이다. 즉 하나에서 둘로 멀어져 가는 것이 다르다이며 둘에서 하나로 가까워져 가는 것이 틀리다이다. 부모에서 자식이 분가하여 나오는 것은 다르다에 해당된다. 부모와 자식은 다른 것이다. 그러나 부부가 한 집에 사는 것은 맞다에 해당된다. 원래 다른데 맞추어놓은 것이 부부이다. 그런데 맞지 않으면 틀리는 것이다. 부부는 맞추어 살아야 하는데 맞지 않으면 틀어지니 틀리다가 맞다. 부부가 다르다면 원래 다른 것이나 틀리다면 문제다. 틀리면 맞춰야 하는데 맞추지 않으니 부부사이가 틀어진 것이다. 즉 다르다가 →←에서 ←→로 바뀌는 것이라면 틀리다는 ←→에서 →←로 가는 것인데 →←가 일치되지 않고 엇나간 것이다. 다르면 갈라서는게 맞지만 틀리면 다시 맞추면 된다. 그러므로 틀리다가 오히려 희망이 있다. ◎ 다르다의 구분 : ← → ◎ 틀리다 불일치 : → ↖ 많은 경우 틀리다는 다르다에 포함되나 곧 다르다로 표현해도 의미가 통하나 해당하는 불일치 부분을 강조하려고 하는 것이다. 불일치를 강조할 때는 틀리다로 말해도 될 때가 많다. 결론적으로 틀리다를 나쁘다 곧 X표로 받아들이는게 잘못이다. 그게 아마 시험지 답안 채점 때문이리라. 틀리다가 옳고 그름을 표현하는 말이라는 관념은 입시제도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난 너와 달라'가 아니라 '난 너와 틀려'로 해야 할 때가 많다. '난 너와 일치하지 않아.' 이 말은 '난 너와 틀려'로 해야 맞다. 현대사회는 불일치가 자랑이다. '우리는 새누리당과 틀려.' 이는 우리의 긍지다. |
"우리는 새누리당과 다르다"가 더 맞는 표현이 아닌지?
다르다는 가치판단이 없습니다.
가치 중립적인 표현이라는 말이지요.
우리는 새누리당과 틀리다는 말은
새누리당보다 우월하다는 가치판단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틀리다라는 단어 자체에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시험채점에 틀리다라는 말을 쓰다보니
틀린 것은 나쁜 것이라는 선입견이 생긴 거지요.
틀린 것이 좋은 것일 때도 많습니다.
흔히 하는 표현 중에 "A와 B는 종자가 다르다"가 있지요. "종자가 틀리다."라는 표현은 잘 못 들어 본 것 같습니다. 종자는 분류의 의미이기 때문에 다르다를 사용해 온 것 같습니다.
그래서 "새누리당과 우리는 종자가 다르다"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틀리다는 차별할 때 많이 쓰는 말입니다.
새누리당과 다르다는 새누리를 차별하는 말이 아니지요.
새누리를 차별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 때는 '우리는 쟤네들과 틀려' 이렇게 말하는게 맞습니다.
일단 팟캐스트에 이 주의가 정설로 지배하고 있고 그것을 잘 못 지키는 사람이 정봉주 하나. 본인은 습관이 되서 힘들다고 항변. 정봉주가 틀리다 표현을 많이 쓰니까 많은 청취자들이 지적하고 문성근까지 전화해서 고치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방송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맞틀틀주의를 고집하다가는 국어에 위배되고 민중들과 거리를 벌리는 부작용도 우려됩니다.
-이다 / -아니다 (정의)
-있다 / -없다 (분류)
-같다 / -다르다 (비교, 구분)
-옳다 / -그르다 (판단)
-맞다 / -틀리다 (결과)
구조론에서 어떤 주제를 가지고 생각을 전개할 때 위의 순서를 따릅니다.
'다르다' 와 '틀리다'의 층위가 다릅니다.
그런데 '옳다/ 그르다'가 가치판단이고 '맞다 / 틀리다'는 판단의 결과를 나타낼 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옳고, 새누리는 그르다"라는 문장이 가치판단으로 차별하는 뜻이 아닙니까?
이건 구조론적 분석이고
한국어가 구조론에 맞춰져 있는건 아니지요.
네, 제 숙제로군요. ^^;
'틀리다'는 영어의 tell과 연결되어있네요. 보통
Oh, I can tell 그러면, ==> 오...구별할수 있겠는데 정도가 됩니다.
tell과 say가 같은 말 같지만, 일종의 구별정도를 나타낼때, tell 이 쓰이죠.
발음적으로도, tell과 틀리다는 비슷하게 들리는군요.
중요한 지적입니다. 저도 요새 식자층 영향을 받아 다르다와 틀리다를 그들의 의견을 따라 썼는데.
영어의 different 와 wrong 때문에 생겨난 문제라고 생각을 합니다.
영어와 단어 의미를 연계시키다보니 different는 다르다. wrong은 틀리다라고 번역을 하고 역으로 국어의 다르다와 틀리다의 의미 규정을 다시 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wrong은 잘못됐다 또는 그르다 라고 번역을 하여야 이 문제를 다시 살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어학계는 예전 용례까지 포함하여 정확한 연구를 하여 이 문제를 재정립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학계가 그렇듯이 이렇게 중요하고 실제적인 문제는 언급하려고 하지 않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