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5]기준님하
read 4937 vote 0 2010.02.02 (12:47:51)

공을 차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며 첫 발을 디딜 때 오른발을 주로 사용하기에 몸무게를 지탱하는 왼발이 커진다. 

이것은 좋은 데이터이기는 하나 구조적인 메커니즘이 빠져있다. 


구조적인 일의 진행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몸을 구동하는 운동습관에 의해 밸런스가 한쪽으로 기울기 시작한다. 
공을 차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며 첫 발을 디딜 때 오른발을 주로 사용하기에 몸무게를 왼쪽 다리 혼자 지탱할 때가 생기면서 몸의 구조적인 중심에 있는 골반이 비뚤어진다. 왼쪽 골반이 위로 기움

2. 몸의 부분에서 시작한 밸런스의 이상이 몸의 중심점으로 이동한다. 
골반이 기울어서 왼쪽다리가 오른쪽 다리보다 짧아진다. 평균 2mm 최대 15mm
짧은 다리의 발이 커진다. 

3. 몸의 중심점의 밸런스 이상이 몸의 전체로 가속화한다. 
운동자세가 아닌 정적인 자세의 변형이 일어나고 그로 인해서 몸 전체의 모양이 불균형해진다.  
다리길이가 차이가 생겨서 다리를 꼬려고 하는 습성이 생긴다. 의자에서 다리를 꼬울 때 긴 다리를 밖으로 올림. 그 외 양반다리 등도 이에 해당.
다리에서 시작된 불균형이 골반, 척추로 이어진다. 척추측만이 생김. 얼굴 좌우 비대칭, 어깨높이의 다름, 팔 길이의 다름이 일어남

4. 밸런스 이상을 몸이 중심점을 이동시켜서 유지하려고 하면서 각종 통증을 유발한다. 
몸은 그 사람의 잘못된 자세와 습관을 정으로 두고 그에 반해서 밸런스를 잡으려고 하기 때문에 각종 근육과 장기에 무리가 가게 된다. 기울어진 밸런스를 바로잡으려고 특정 기관, 근육이 수축하여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그 기관과 근육이 항상 긴장하고 지쳐있는 상태가 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그러다 가동불능이 되면 병이된다.

이런 밸런스 이상은 맛사지 등으로 일시적으로 근육긴장을 풀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본인의 자세와 습관을 관찰하여 몸의 밸런스를 교정해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단편적으로 주장하는 사람들은 많다. 그러나 이렇게 구조로서 한큐에 꿰어내는 사람이 없다. 

몸이 아픈 일은 대부분 최적화 된 구조에서 막힘없이 에너지(혈액과 정보를 전달하는 호르몬 이하 면역체계)가 순환되어야 하는데 구조에 이상이 오고 그에 따라 순환이 정체되고 정체된 곳이 과밀해지고 그 부분이 원래 기능을 상실하면서 일어난다. 

양방과 한방을 아우르는 구조론 의학을 만들어야한다.  앞으로 10년안에 구조론 병원이 생길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0.02.02 (16:47:52)

호오..., 좋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339
2016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48
2015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438
2014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431
2013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22
2012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409
2011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76
2010 척력. 2 아제 2010-07-14 7358
2009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57
2008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44
2007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28
2006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324
2005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315
2004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315
2003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312
2002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84
2001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69
2000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265
1999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244
1998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39
1997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