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12월 옥천모임에서 내가 그렇게 말했다. 동렬님이 말미에 단 말과 같다.  

1. 과거의 기억을 생각할 때는 후두엽에 신경을 집중하느라 고개가 뒤로 젖혀지거나 눈동자가 위로 치켜올라간다. 혹은 뒷머리를 긁적거린다. 

2. 미래를 예측하려고 할 때는 전두엽에 신경을 집중하느라 이마를 만지거나 미간에 힘을 주게 된다. 

뇌 생물학에서 밝혀진 데이터이고 구조적인 진화론 관점으로는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 

덧붙여 언어발생도 이런 순서를 따른다. 구조론을 사용하면 뇌 신경생물학과 언어학의 메카니즘을 동시에 수렴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367
2017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48
2016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438
2015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431
201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24
2013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409
2012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76
2011 척력. 2 아제 2010-07-14 7358
2010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57
2009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45
200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29
2007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324
2006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316
2005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316
2004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312
2003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84
2002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69
2001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268
2000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244
1999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41
1998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