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4080 vote 0 2008.11.26 (14:50:15)

아주 생소하면서도 아무리 보아도 빈틈이라곤 없어보이는 "구조론" 을 공부하려 합니다. 저는 마음이 깨끗한 편에 속하며 순수하다고 생각합니다.
머리는 특별히 좋은것은 아니고요..

사랑하던 여인과도 이별하고....생각해 보니 이제 내가 갈 길은 정신세계 뿐이라고...그것만이 남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제가 선생의 구조론을 배울수 있을까요???

김동렬

2008.11.26 (15:04:55)

반갑습니다.
다는 몰라도 구조론의 한 귀퉁이는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구조론은 실천적인 학문이므로 실천분야로 임무를 좁히면 쉽습니다.
김동렬

2008.11.26 (15:11:17)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
만유에는 일정한 순서와 방향의 질서가 있다는 것.

세상은 온통 역설이라는 것, 그러므로 두번 생각해야 답이 보인다는 것.
세상은 딱딱한 알갱이의 집적이 아니라 무른 일이라는 것.

그러므로 최고의 것은 멈추어있지 않고 성장한다는 것.
모든 존재는 반드시 짝이 있다는 것. 그러므로 모든 것은 상대적이라는 것.

그 상대성 자체도 절대성의 전제라는 짝을 가진다는 것.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상대적이라는 것.

모든 문제는 정답이 있다는 것.(그것이 인간이 원하는 답은 아닐지라도)
구조는 난해하지만 실천에 있어서는 미학으로 단순화되어 나타나므로 쉽다는 것.

의미는 잇고 가치는 짝짓는다는 것.
정상에는 낳음이 있다는 것.

톱 포지션을 차지하고 계에 밀도를 걸어주면
원하는 대로 대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

정도만 알아도 가치관이 바뀌고 세계관이 바뀌고
세상이 만만해질 것입니다.
김동렬

2008.11.26 (15:12:45)

온갖 편견과 고정관념과 진부함과 타성과 매너리즘을 깨고 신선한 활력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창조할 수 있다면. 그 포지션에서 세상을 바라본다면.
자유

2008.11.26 (16:49:09)

답변 감사합니다.

해 보겠습니다. ㅎㅎ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33
327 토요일 구조론 토론모임에 초청합니다. image 2 김동렬 2010-03-18 5810
326 법륜의 사기극 8 김동렬 2014-04-30 5835
325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838
324 문답 - 나쁜 글의 예 11 김동렬 2013-07-08 5842
323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849
322 자기존중감과 선을 넘기 3 ahmoo 2009-04-15 5851
321 나이들면 알게 되는 비밀 image 6 김동렬 2014-12-17 5866
320 어휴...좀 어처구니없는 질문 드려보아요. 1 지구인 2008-09-24 5871
319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871
318 구조론적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4 김동렬 2016-12-01 5871
317 개 한 마리에 592억 image 2 김동렬 2014-06-30 5883
316 야심만만한 설정 ░담 2010-04-28 5885
315 TV의 발명 image 1 김동렬 2013-11-26 5887
314 구조론적 개입 -양육- 3 오세 2010-07-12 5891
313 정치는 박근혜처럼 해라. image 1 김동렬 2015-04-29 5896
312 잘못 알려진 과학상식 image 김동렬 2014-03-04 5903
311 개념없는 인공지능 image 2 chow 2023-06-05 5915
310 스타워즈가 망하는 이상한 나라 한국 8 김동렬 2015-12-21 5923
309 우리말과 힌디어의 유사성 3 김동렬 2013-07-23 5941
308 구조는 같다. image 20 김동렬 2014-04-03 5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