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091 vote 0 2016.09.15 (12:23:38)

     

    구조론 1분 설명


    이것이 이렇게 되면 저것이 저렇게 된다는 것이 구조다. 이때 이것과 저것은 엮여 있다. 구조의 엮임을 대칭이라고 한다. 그 대칭의 종류가 다양하다. 공간적으로 엮여 있는 대칭 뿐 아니라 시간적으로 엮여있는 호응도 있다. 대칭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매개변수다. 매개변수는 다섯가지가 있으므로 대칭의 종류도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 다섯가지가 합쳐져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사건을 구성한다. 사건은 외력으로 작용하는 에너지를 계에 태우고 그 에너지작용의 불균일에 따른 내적 모순을 처리하는 형태로 일을 한다. 이때 에너지를 태우는 입력측의 상부구조와 일하는 출력측의 하부구조로 나눠진다. 이들이 일하는 방식에 따라 세상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 구조는 곧 의사결정구조다. 구조의 엮임이 계를 이루어 에너지를 태웠을 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결정하는지를 추적하는 것이 구조론이다. 구조는 기본적으로 이것과 저것 사이에서 상호작용의 방법으로 일한다. 인류과 지금까지 탐생해온 방법은 원인과 결과의 일방작용이다. 원자론적 사유와 결정론적 사유로 세상을 상대해온 것이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세계는 원인과 결과의 순차적 진행이 아니라 대칭의 축 하나가 움직여서 대칭된 날개 둘을 동시에 결정하는 일의성의 원리 곧 게임이론적인 동시적 상황, 확률적 상황, 양자론의 불확적성적 상황으로 안내한다. 완전히 다른 세계가 열린다. 그 세계로 당신을 초대한다.


 01.jpg


인과적 세계관


02.jpg


상호작용의 세계관


555.jpg


    명절에 철 지나간 성룡영화나 보느니 구조론 공부가 적당하오. 왜 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구조의 종류가 꽤 많기 때문입니다. 손자병법만으로 이야기가 끝나지 않는게 오자병법도 있기 때문입니다. 결정적으로 당신은 시계 속에 살고 있는게 아니라 게임 속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에서 주인공 떠돌이는 거대한 톱니바퀴들 속에 갇혀버립니다. 바쁘게 돌아가는 시계 속에 들어가 버린 것과 같습니다. 그것이 근대의 사유입니다. 그러나 현대는 다릅니다. 세상은 시계가 아니고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가 아닙니다. 세상은 게임입니다. 시계는 시계방향이라는 한 방향으로만 작동하지만 게임은 드롭과 레이즈의 두 방향으로 작동합니다. 게임은 반드시 상대가 있어야만 성립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상대방은 당신이 패를 선택할때까지 의사결정을 유보한 채로 당신을 째려보고 있습니다. 뒤통수를 치지 않으면 집니다. 구조론이 안내하는 상호작용의 세계관을 익힌 자가 승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5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22
3575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7060
3574 풍성해야 진보다 1 김동렬 2018-07-21 7060
3573 성선설과 성악설 image 김동렬 2016-05-09 7069
3572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7 김동렬 2015-02-24 7075
» 구조론 1분 설명 image 김동렬 2016-09-15 7091
3570 의사결정학의 의미 image 김동렬 2014-07-07 7101
3569 선택이냐 대응이냐 1 김동렬 2018-07-10 7118
3568 깨달음의 과학 3 김동렬 2014-05-25 7121
3567 의사결정구조 100문 100답 image 2 김동렬 2016-09-08 7126
3566 구조론 백문백답 image 김동렬 2016-09-07 7130
3565 다양성과 획일성 image 2 김동렬 2015-05-09 7132
3564 간화선의 의미 6 김동렬 2018-07-20 7142
3563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4-29 7154
3562 의사결정학의 개요 image 9 김동렬 2014-05-27 7156
3561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5-05-18 7158
3560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7 김동렬 2015-07-16 7186
3559 고쳐쓴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1 7190
3558 자유 평등 박애 그리고 정의 image 2 김동렬 2014-12-17 7202
3557 천지창조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4-10-19 7207
3556 의사결정이론과 구조론 1 김동렬 2014-06-29 7226